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스페셜
"
세상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앞을 볼 수 있는
세상
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인공눈 기술이 ‘시각장애인 없는
세상
’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도움말: 서종모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callme@snu.ac.kr)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주 인간과 기계가 하나가 되는
세상
. 로봇공학과 생체공학이 하나가 되는
세상
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습니다. 사고로 팔 다리를 잃은 사람도 로봇 팔을 이식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시력이나 청력을 잃은 사람도 정상인처럼 생활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사이보그 기술, 일명 ‘바이오닉 기술’은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사례가 있었다. 2014년 3월 우주배경복사에서 빅뱅의 중력파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세상
을 깜짝 놀라게 했던 미국 하버드-스미스소이언 천체물리센터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팀(바이셉2 실험)의 발표가 엉터리라는 주장을 처음 제기한 프린스턴대의 천체물리학자 데이비드 스퍼겔 교수가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과학적 성과에 만족해서라기보다는 인류애적인 면에서 특허를 취득하지 않았다. 그러나
세상
은 뢴트겐에게 친절하지 않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패망으로 1920년대 독일 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졌을 때 뢴트겐은 거의 거지나 다름없는 궁핍한 가운데 생을 마감했다. 선의의 대가치고는 너무 가혹한 ... ...
몸에 좋다는 식품, 몸에 안 좋을 수 있다?!
KISTI
l
2015.01.05
흔들린다. 똑같이 먹으면서도 비만과 멀어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세상
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지방을 빼고 나면 균형이 깨질 수도 있고, 지방이 빠진 자리를 채우려 설탕을 더 넣는 경우도 있다. 채소나 과일에 뿌려먹는 ‘무지방 드레싱’은 이름처럼 지방이 들어있지 않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년 MIT로 자리를 옮겨 1989년 은퇴할 때까지 머물렀다. 그 뒤 명예교수로 있으면서도 96세로
세상
을 떠날 때까지 후학들과 함께 연구를 계속했다. 체육관에 가는 도중 쓰러져 사망한 날에도 논문 원고 작업을 하며 동료들과 e메일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도구도 없다. 사람은 신처럼 하늘에서 지상을 내려다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세상
을 지도 위에 제대로 담겠다는 생각은 신이 되려는 시도만큼이나 무모해 보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양한 기법으로 조금씩 지도를 완성했고 급기야 지도 위에 세계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는 수준을 넘어, ... ...
로드인터뷰 단위이야기 [제10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2.26
단위를 알면
세상
이 보인다! 우리 일상 곳곳의 단위이야기를 시민들과 함께 알아보는 교양프로그램, '로드인터뷰 단위이야기' 제10편에서는 마지막 대미로 '대한민국 측정표준'을 담당하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을 소개한다. 우리나라 수출 효자종목인 자동차, 반도체 등 우리 기업에 어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제럴드 구럴닉(Gerald Guralnik) 교수가 강의 직후 심장마비로 쓰러져 78세로 갑작스럽게
세상
을 떠났다. 미국 아이오아주 시더폴스에서 태어난 구럴닉은 MIT에서 학부를 마치고 하버드에서 괴짜 과학자인 월터 길버트 밑에서 입자물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32년생으로 불과 네 살 연상인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진진해지는
세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떨어지게 된다. 기존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동안에도 새로운 데이터가 끝없이 밀려드는
세상
이다. 트위터를 통해 하루에 오가는 단문의 수만 해도 5억 건에 달한다. 다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것은 빅데이터 기술의 필수조건이다. 넷째는 정확성(Veracity)이다. 분석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