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하도"(으)로 총 1,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라늄, 뇌, 종자…인류 미래 저축하는 ‘과학 은행’동아사이언스 l2017.10.13
- 위해 보관하는 은행이다. 뇌은행에서는 뇌를 포르말린에 담가 썩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도록 고정하거나 영하 80도로 냉동해 살아 있을 때의 상태 그대로 유지한다. 질병을 앓았을 경우 뇌뿐 아니라 질병과 관련된 장기를 함께 보관해 뇌 연구와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폐암 환자의 뇌를 보관할 때는 ... ...
- 국제과학사진대회 2017 수상작 암흑물질 찾는 제논1T과학동아 l2017.10.07
- enrico sacchetti 제공 과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영국 왕립사진학회가 매년 개최하는 ‘국제과학사진대회 2017’ 수상작이 공개됐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대회에는 전세계에서 3563개 작품이 출품됐고, 26세 이상 부문 금, 은, 동 메달과 18~25세와 17세 이하 부문 금메달 등 총 5개의 ... ...
- 日 후쿠시마 인근 새로운 세슘오염 지역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7.10.04
- 후쿠시마 인근 해안가의 모습. - 일본 가나자와대 제공 후쿠시마 다이치 원자력발전소(원전) 사고가 벌어지고 6년이 지난 지금, 국제 연구진이 후쿠시마 인근 60마일(100㎞) 반경 해안가에서 기존에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슘 오염을 확인했다. 해양 분야 세계적 연구기관인 ‘우즈홀해양학연구 ... ...
- 긴 추석 해외여행객을 위한 인천공항서비스 꿀 TIP 5!동아사이언스 l2017.09.30
- 최대 9일 여름휴가 부럽지않은 추석연휴를 맞아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나투어나 인터파크투어 등 여행사들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최소 100만 명은 여행을 떠날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해외 여행객이라면 꼭 거쳐야하는 인천공항. 알아두면 좋은 인청공항 서비스 5가지를 ... ...
- 멕시코, 7일 이어 20일 규모 7.1 지진이 또다시 발생 동아사이언스 l2017.09.20
- 7일 멕시코 남부에서 규모 8.1 지진이 일어난 데 이어 20일 (한국시각) 또다시 규모 7.1 지진이 일어났다. 멕시코 멕시코시티 남동쪽 122㎞ 지역, 지하 51㎞ 위치에서 20일 3시 14분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현재까지 최소 119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인 피해자는 아직까지 없다. 전체 피해 규모 ... ...
- [때와 곳 22] 외가: 고향보다 더 그리운 곳2017.09.16
- 두 번째 고향이 있다. 누구에게나 태어나고 자란 애초의 고향이 있고, 또 다른 생활을 위해 그곳을 떠난 사람들이 새롭게 터전을 잡은 거주지를 흔히들 제2의 고향이라고 일컫지만, 그 지칭에는 ‘고향’이라는 근원적 그리움은 없다. 그보다는 그곳의 지상에서 매일 짜이는 희로애락의 매듭이 촘촘 ... ...
- 애플파크, 그리고 스티브 잡스2017.09.14
- 9월 12일 애플의 가을 이벤트가 열렸습니다. 늘 그렇듯 아이폰을 중심으로 한 신제품이 발표되는 자리입니다. 키노트가 시작되자 극장은 불이 꺼졌고, 참석자들에게도 잠깐 랩톱을 꺼달라고 요청하는 방송이 흘러 나옵니다. 그리고 컴컴한 극장 안은 스티브 잡스가 생전에 했던 이야기가 덤덤하게 ... ...
- 석탄, 첨단기술 만나 청정연료로 대변신동아사이언스 l2017.09.11
- 석탄, 얼마나 알고 있나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석탄. 사탕수수, 당밀 등 식물 성분에서 뽑아낸 탄소(C)를 석탄의 공극에 넣어 효율을 높인다. 탄소가 첨가된 석탄이 발전소에 투입되면 높은 열량을 낸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에너지는 ... ...
-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09.09
- 2012년.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시속 1200km로 비행기보다 빠른 ‘꿈의 열차’에 대한 아이디어를 냈다. 이른바 ‘하이퍼루프(Hyperloop)’다. 그리고 5년이 지난 올해 5월 12일, 하이퍼루프원이라는 회사가 첫 시험 주행에 성공했다. Hyperloop One 제공 ● 2km 달리면 시속 1100km 도달 “발사 5 ... ...
- 北핵실험 증거 ‘방사성 기체’ 검출, 찾을 수 있을까2017.09.08
- 2차 지진으로 인한 누출 가능성… 해상-공중에서 시료 채취에 총력 지반 붕괴 원인 놓고 의견 엇갈려 방사성 물질 유출여부 단정 어려워 공중 촬영한 미국 네바다주의 한 핵실험 장소. 지하 핵실험의 영향으로 분화구처럼 깊게 파인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지하 깊숙한 곳에서 실험을 진행할 경우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