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뉴스
"
일도
"(으)로 총 51,48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사에 뒤덮인 한반도…일부 지역 14일까지 영향권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유입된 12일 서을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마스크를 쓰고 이동하고 있다. 13일 전국이 황사의 영향권에 놓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내일까지 황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기상청에 따르면 11일 고비사막과 내몽골고원, 12일 몽골 동쪽 등에서 발원 ... ...
[사이언스영상] 인간보다 500배 많은 오줌량으로 생태계 살리는 고래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Lars Bejder, NOAA permit 21476 제공 고래의 소변이 해양 생태계를 먹여 살린다는 연구가 나왔다. 긴수염고래는 인간보다 약 500배 많은 양의 소변을 배출한다. 이 소변이 수천km에 걸쳐 해양 생태계에 필요한 영양분을 실어 나른다는 것이다. 3월 10일 미국 버몬트대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 ... ...
생존율 낮은 췌장암, 치료 걸림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췌장암의 치료 저항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ecDNA'가 지목됐다. 췌장암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년 생존율이 15%에 불과한 췌장암은 사망률이 높은 대표적인 암이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어렵다는 의미다. 의학자들이 췌장암세포의 치료 저항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요인으로 'ecDNA(염색 ... ...
양자정책 결정하는 양자전략위 출범…양자기술 산업화에 초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자가 20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양자과학기술 분야 최고 정책 심의·의결 기구인 양자전략위원회가 출범했다. 출범과 함께 논의된 양자 분야 정책인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전략'은 양자 분야가 연구개발(R&D) 단계를 ... ...
지방 대학병원 필수의료 공백 본격화…중증환자 치료 전문의 정년 이탈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의과대학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올해 의과대학 교수들의 정년이 의료현장에서 더욱 무겁게 다가오고 있다. 전공의들의 수련과정 이탈로 필수의료 인력 공백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그나마 자리를 지키던 교수들이 자리를 떠나기 때문이다. 진료과 안 ... ...
사전공개 논문사이트 바이오·메드아카이브, 비영리 단체로 독립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 홈페이지 메인 화면. 바이오아카이브(bioRxiv) 홈페이지 캡처 동료 평가를 거쳐 정식으로 출판되지 않은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로 알려진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와 메드아카이브(medRxiv)가 비영리 단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11일(현지시간) 국제학 ... ...
유산균이 아토피 피부염 완화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세포 밖 소포체(EV)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환아를 진료하는 의료진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유래 세포 밖 소포체(EV)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하는 메커니즘을 규명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연세의료원, 한국의료로봇센터 확장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왼쪽부터 이성 한국의료로봇센터 센터장, 오창현 보건복지부 과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연세의료원 제공 ■ 연세의료원은 최근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단계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병원형) 사업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료로봇센터 ... ...
[과기원NOW] KAIST-인하대, 광화학 에너지전환의 핵심 '핫홀' 제어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금 나노 그물망을 이용한 핫홀 제어를 나타낸 이미지. KAIST 제공 ■ KAIST는 박정영 석좌교수와 이문상 인하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순간적으로 소멸하는 플라즈모닉 핫홀을 더 오래 유지하고 증폭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플라즈모닉 핫홀은 빛이 금속 나노 구조체 표면에 닿으면 순간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제2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제2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열린 '제2차 기초연구 전략대화'에서 최적의 개인기초연구 지원체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현재 기초연구 지원체계가 복잡해 연구자들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