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타임머신’ 국내 연구진이 만들었다
2015.10.07
바라보는 건 빛이 사물에
반사
돼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빛을
반사
시켜 이 영상을 처리하면 과거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쏟은 물을 주워 담는 것과 같이 흩뿌려진 빛을 다시 집약시켜 산란 전의 영상을 복구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박 교수팀은 ... ...
영하 150도가 됐는데도 물이 얼지 않는다고?
2015.09.23
확인됐다. 얼음이 물로 녹으며 균일이 사라진 것이다. 김 교수팀은 X선이 물체에서
반사
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X선 회절 실험으로도 액체인 물의 존재를 확인했다. 온도를 영하 150도까지 올렸을 때 고밀도 고체 상태인 얼음이 액체인 저밀도 상태, 즉 물로 급격히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물의 물리적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것도 음모론을 주장하는 쪽의 또 다른 이유다. 하지만 달 표면을 덮은 암석가루가 분산
반사
를 일으키기 때문에 지구와 달리 달에 여러 방향의 그림자가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아폴로 이후에도 인류는 달에 가기 위한 시도를 계속했다. 2000년대에 들어 아시아 국가들은 잇달아 야심 찬 ... ...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직접 나만의 램프플라워를 만들어 보기로 했어. 만드는 방법은 무척 쉬웠어. 빛을 잘
반사
하는 하얀색 PET(음료수 병 등을 만들 때 쓰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에 예쁜 꽃잎을 그린 뒤, 잘라서 둥글게 말아 전구에 끼우면 완성! 어때? 우리가 만든 램프플라워 정말 멋지지? 이처럼 간단한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 빛을
반사
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하트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 전망이다. 하트 지형을 방문할 때는 숨은그림 찾듯 크레이터를 찾아보자. ... ...
‘IT창의과학탐험대’, IT 연구의 최전선을 취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8.12
살펴봤다. 항공우주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방문, 인공위성 카메라에 쓰이는
반사
경과 망원경을 둘러봤다. 이후 KAIST로 자리를 옮겨 항공우주공학과 심현철 교수팀의 드론 시연을 체험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위성 천리안의 모형이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를 다녀왔다. 이번 견학은 지난달 ... ...
2학년 때 수학성적 갑자기 오른 문과생, 기초 다지기 소홀하면 수포자 되기 쉬워
동아일보
l
2015.08.06
후 문과에서는 수학, 이과에서는 국어 성적이 오르지만 이 역시 우수학생 이탈에 따른
반사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진학사 김희동 소장은 “결국 변별력이 높은 수학 기초 다지기에 힘쓰는 한편 성적 상승에 꾸준히 공을 들여야 하는 영어에서 반전의 기회를 찾는 것이 내신성적 상승의 비결”이라고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10만5810점 중 수상자 301명 선정
2015.07.30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무총리상을 받은 박규열 군의 ‘빔스플리터를 이용한 이중
반사
식 현미경’은 빛의 원리를 충분히 이해한 뒤 개발했다는 점에서 매우 수준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또 두 작품 모두 실용성이 뛰어난 데다 실제 상품화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 심사에는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값싸고 좋은 현미경으로 ‘1인 1현미경’ 합시다~”
2015.07.30
사이에 빔 스플리터를 끼우자 실제로 상이 커졌다. 대물렌즈로 들어간 빛이 거울을 통해
반사
되면서 확대된 뒤 또 한번 대물렌즈를 거치면서 한 차례 더 확대되고, 이후 빔 스플리터를 통해 접안렌즈로 옮겨 가면서 시료가 확대돼 보인다. 저배율 렌즈를 사용한 덕분에 현미경의 경통도 짧게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복잡한 구조의 금속 박막을 20~3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두께로 표면에 바르면
반사
율이 5%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빛을 모조리 흡수하는 표면을 만들고 빛에너지를 손실 없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면 태양전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양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