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산출
가망
승산
경기
시합
뉴스
"
내기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도축을 한 칼자국을 보면, 칼자국이 뼈의 중간에 주로 있습니다. 근육인 살코기를 저며
내기
위해서는 칼을 뼈와 살이 붙은 부분에 대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크라피나의 네안데르탈인은 식인 풍습을 가졌다고 볼 수 없는 거랍니다. ● ‘식인종’은 착각? 러셀 교수가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웅크리고 가만히 누워있으면 고통이 덜 해 숙취가 심할 땐 회사에 전화를 해 휴가를
내기
도 했다. ●아세트알데히드가 유발물질? 지난 봄 학술지 ‘네이처’를 뒤적거리다 신간소개란에서 표지가 눈에 확 띠는 책을 봤다. 위스키온더락(whisky on the rocks)이 술잔이 아니라 삼각플라스크에 담겨져 ... ...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이 “잦은 야근이나 철야, 출장 때문에 가정과 아이들에게 시간을
내기
힘든 것도 문제”라고 짚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현대전자에서 우수 직원상을 수상하고, 현대전자를 빛낸 100인 안에 선정될 만큼 능력을 인정받은 데는 여성임을 잊고 일을 처리하려는 본인의 ... ...
국운(國運) 건 각축전, 아시아 국가 달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4.11.28
반열에 올랐다. 이 실험으로 달에서 물과 얼음을 발견하면서 인도의 우주 탐사는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또 지난해 화성 탐사선 ‘망갈리안’ 발사도 성공을 거둬 2013년 발사하려다 미뤄진 ‘찬드라얀 2호’의 2017년 발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2007년 달 궤도선인 ‘가구야’를 발사한 이후 ... ...
[채널A] 뜨거운 기름에 물, 직접 실험해 보니…‘화염방사기’ 변신
채널A
l
2014.11.19
정도. 기름 바닥에 깔려 있는 물이 열에 의해 부피가 급팽창하면서 기름을 위로 튕겨
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유용호/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박사] 뜨거운 유증기가 솟구치게 되면 불이 솟구치면서 화염방사기처럼 높게 불이 커지면서 화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물은 가열하면 ... ...
사랑도 알고리즘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2014.11.02
수 있는 ‘화학적 오토마톤’이 생명체의 비밀을 푸는 열쇠라고 생각했다. 이를 밝혀
내기
위해 오토마톤이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최초의 오토마톤은 무엇을 닮았는지, 오래된 퇴적층에서 오토마톤 화석을 찾을 수는 없는지 등을 탐구한 것이다. 여기에 더해 지구 밖 외계로 시선을 돌리는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전에 종양 부위에 이번에 개발한 ‘나노형광표지자’를 주사하면 수술 중에도 밝은 빛을
내기
때문에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술 부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처가 빨리 아물고 흉터도 작아 수술 후 부작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김 과장은 “간단한 아이디어지만 의료 현장에서 꼭 필요로 하는 ... ...
“과학기술 사업화 수익의 40%는 연구자의 몫”
2014.09.21
한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한 그는 마지막으로 한국의 창조경제가 더 큰 성과를
내기
위한 조언을 남겼다. “한국은 이미 충분히 잘 하고 있습니다, 다만 더 잘 하려면 세계와 함께하려는 열린 자세가 필요합니다. 특히 중국은 한국의 열린 자세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 정부와 기업이 ... ...
“나 그렇게 만만한 대장균 아니야”
2014.09.21
자기 몸속에서 DNA를 증식하지 못하도록 박테리오파지의 DNA를 인지하고 모조리 잘라
내기
시작한다. 이때 박테리오파지의 DNA를 찾아 없애는 역할은 ‘캐스케이드(Cascade)’ 단백질이 맡는다. 표지 그림에서 박테리오파지 DNA에 맞물려 있는 덩어리가 바로 캐스케이드다. 블레이크 와이든헤프트 미국 ... ...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전자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계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하나둘 밝혀
내기
시작했다. 현재 경계면 연구에서는 김 교수팀이 독보적이다. 그 덕분에 김 교수는 지난해 경계면만 집중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