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17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자외선 중 파장이 광선보다 훨씬 짧은 부분을 뜻한다. 올리비에 베르나 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원(CNRS)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별과 별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외선 바람'이 어린 별의 원시 행성 원반에서 가스를 떼어내 별의 질량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29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 있다
과학동아
l
2024.03.02
비문을 생체정보로 활용한 역사는 꽤 깊은 편입니다. 북아메리카를 대표하는 캐나다
국립
애견단체인 ‘캐나다켄넬클럽’은 약 80년 전인 1938년부터 1992년까지 개의 고유 식별방식으로 비문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잉크 패드를 개의 코에 대 잉크를 묻힌 뒤 카드보드에 코 무늬를 찍는 ... ...
연구 예산 삭감에 프랑스 과학자들도 뿔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1
Inserm), 프랑스
국립
디지털과학기술연구소(Inria) 및 프랑스 농업∙식량∙환경
국립
연구소(INRAE)와 같은 프랑스 주요 국가 연구 기관에 대해 3억8300만 유로(약 5530억원)의 예산이 줄어들 예정이다. 예산 삭감안에 프랑스 과학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프랑스과학연구자노동조합은 27일 “전례 ... ...
전공의 복귀 유의미한 움직임 없어…정부 "4일부터 행정절차법상 처분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이날 정부는
국립
대 의대 교수를 지금보다 1000명 늘리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지방 거점
국립
대 의대 교수는 현재 1300명 정도다. 의대 증원에 따른 의대교육 부실화 지적에 대한 대책이다. 이번 집단행동 사태에서 전공의가 부재한 수련병원이 제기능을 못하는 상황과 관련해 장기적인 해결책을 ... ...
문헌으로만 전해진 조선 후기 '남병철 혼천의'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한국천문연구원이 복원한 남별철의 혼천의.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문헌으로만 전해졌던 조선 후기 천문학자인 '남병철' 혼천의가 170여 년만에 되살아났 ...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복원된 남병철의 혼천의는 올해 하반기에
국립
과천과학권에서 특별 전시될 예정이다 ... ...
총소리만큼 큰 소리 내는 손톱만 한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이라는 어종이 매우 큰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어항에서 의문의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조사에 들어갔다. 그리고 다니오넬라가 총소리만큼 큰 140데시벨(dB)이 넘는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을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
과천과학관 '2024년 미래 과학자 그림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제공. ■
국립
과천과학관은 ‘2024년 미래 과학자 그림대회’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그림대회의 주제는 ‘미래 동물 상상하기’로 지구 환경 변화에 근거해 미래동물의 진화를 상상해보며 지구 생태계 문제를 성찰해보는 기회가 될 예정이다. 3월 4~29일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이번 대회는 ... ...
중이온가속기 '라온' 첫 활용연구 실험, 세계 석학이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자문위원회는 해외 유수기관 소속 석학 등 6명으로 구성됐다. 나이젤 오어 프랑스
국립
핵입자물리연구원(IN2P3-CNRS) 위원장을 비롯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희귀동위원소연구시설 이졸데(ISOLDE),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니시나센터, 독일 중이온가속기연구소(GSI) 등의 연구자들이 참여한다.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빛내리 RNA연구단 단장과 유진 발코프 미국
국립
암연구소 박사, 이영석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단일핵산 분석법을 적용해 mRNA 분해의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을 찾았다고 28일 밝혔다. mRNA는 긴 단일 가닥 RNA 분자로 DNA에 ... ...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대규모 감소 1940년대 이미 시작됐다"
연합뉴스
l
2024.02.27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휴스턴대 레이철 클라크 박사팀은 29일 과학 저널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서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와 가까운 아문센해 해저 퇴적물을 분석, 빙하 녹는 게 가속화되는 게 관측된 것은 1970년대부터지만 1940년대부터 이미 대규모로 녹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