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 '뇌 세포 지도' 공개...뇌 기능, 분자 단위로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뇌 세포 지도 만들어 사이언스가 이번에 대거 공개한 논문들은 지난 2017년 시작된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대규모 뇌 연구 프로그램(BICCN)의 결과물이다. 45개 기관 258명의 과학자가 BICCN에 참여해 인간 뇌의 신경세포(뉴런)와 시냅스 연구를 위해 최신 분자생물학 기술을 적용했다. 분자생물학은 ... ...
전자 대신 준입자 '다크 엑시톤' 활용 차세대 광반도체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2
은 이영희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장(성균관대 HCR 석좌교수) 연구팀이 윤석준 미국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펠로우, 독일 필립스-마르버그대 에르민 말릭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서로 다른 반도체 소재를 적층한 소자에서 다크 엑시톤을 감지했다고 12일 밝혔다. 반도체 소재에는 전자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2023.10.12
국립
보건원에서 보건연구사와 보건연구관으로 근무했으며, 미국
국립
보건원(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가톨릭대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RNA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과 백신증강제를 개발하고 있다 ... ...
[과기원NOW] GIST,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 AI 로봇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1
GIST)은 어린이 독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서비스를 이달 중
국립
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시범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주관연구기관은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로, 김홍국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로봇 및 서비스 콘텐츠 개발 연구를 책임진다. 연구소는 도서위치 ... ...
'야외금연법' 도입했더니… 65세 이상 심장질환 대폭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1
후 65세 이상 심장질환 환자가 2만 명 가까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싱가포르
국립
보건원 연구팀은 싱가포르 정부가 야외금연법을 도입하기 전인 2010년부터 2013년 야외금연법이 시행된 6년 후인 2019년까지의 심근경색 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 특히 노인·남성층의 심장질환 환자 수가 대폭 ... ...
[특별기고] ③바이오벤처의 백신 R&D에서 정부 지원이 중요한 이유
2023.10.11
mRNA) 백신 ‘mRNA-1273(모더나스파이크박스주)’는 미국의 신생기업인 모더나와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협력해 만들었다.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운반체로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바이러스벡터백신 ‘AZD1222’ 또한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창업한 벤처기업이 다국적 제약사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⑧전문가들 "낯선 용어 인지도부터 높여야"
2023.10.11
쿼크라는 이름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논쟁은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
국립
국어원에서 표준어를 정하듯 과학 분야에서도 관련 기구를 만들어 용어의 쓰임새를 검토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또 "과학 분야 기사를 쓸 땐 같은 개념을 설명하는 다른 용어를 ... ...
평균기온 1도 더 오르면 40억명이 견디기 힘든 더위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0
온도가 더욱 높아졌을 때를 가정한 모델링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10일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인간은 기계를 돌리기 시작했고 화석 연료를 태웠다. 이는 전 세계 온도가 1도 상승하는 원인이 됐다. 위기를 감지한 글로벌 사회는 2015년 열린 ... ...
나무가 대기오염 주범?...지구 더워지면 가능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건주립대 연구팀이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A)’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참나무와 포플러 나무에서 방출되는 화합물인 이소프렌은 온도가 10도 높아질 때 방출량이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뜻한 기온에서 방출되는 이 ... ...
포유동물들, 사자보다 '사람 소리' 더 무서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마이클 클런치 영국 웨스턴대 환경생물학과 박사 연구팀이 남아프리카 크루거
국립
공원과 그 주변에 사는 포유동물들을 대상으로 수천 개의 녹화 영상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현대 생물학’에 6일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 포유동물들은 동물의 왕으로 불리는 사자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