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중증 환자, B세포 항체 정보 뒤죽박죽된다
연합뉴스
l
2020.10.12
형질세포로 분화하면 자가면역 질환을 일으키는 자가항체가 생성된다. 이 과정에
관여
하는 T세포는, 배중심에서 B세포에 신호를 전달해 다량의 항체가 생성되게 하는 Tfh(여포 도움 T세포)의 전구세포가 된다. 하지만 Tfh에 세포 독성이 생기면 완전히 성질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미국 ... ...
'표준모형' 확장할 새 힘 발견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제외한 3종의 힘을 전달하는 입자 4종, 다른 입자가 질량을 갖는 과정(힉스메커니즘)에
관여
하는 입자(힉스입자) 등 총 17개의 ‘기본입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주를 설명한다. 우주의 구성은 이들 기본입자 가운데 물질이 다양하게 결합해 이뤄졌고, 우주와 우주를 구성하는 별 등 물질의 움직임은 ... ...
[표지로 읽는 과학]장기 재생의 꿈 앞당기는 미니장기 '오가노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0
분류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세포를 다양한 형질로 분화시키거나 재생하는 데
관여
하는 신호경로와 유전자를 찾는 데에도 성공했다. 특히 그 가운데 하나인 레티노산 신호전달 경로는 줄기세포가 장 상피세포로 분화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한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샤르팡티에 교수, 식스니스 교수가 발견하고 메커니즘을 밝힌 Cas9은 바로 이 과정에
관여
하는 단백질이다. 하지만 이 크리스퍼 자체를 발견한 연구자들 역시 이번 수상과는 인연이 없었다. 이번 수상은 철저히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발명에 초점을 맞췄다는 평이다. 그 외에 크리스퍼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선정되면서 노벨상 수상 가능성이 제기됐다. 클래리베이트는 직접 노벨상 후보 선정에
관여
하지 않지만, 연구 실적이 우수한 연구자를 선정해 노벨상 수상권에 근접한 학자로 발표한다. 역대 세 번째로 클래리베이트의 우수연구자로 선정된 한국인 연구자인 현 교수는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게즈 교수는 보이지 않는 아주 무거운 물체가 은하계의 중심에서 별들의 궤도에
관여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공로가 인정된다고 평가했다. 아래는 스웨덴 노벨위원회가 발표한 세 사람의 업적 보도자료를 요약한 내용이다. 아인슈타인을 넘어서 상대성이론을 제시한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 ...
[Q&A] '어린이 괴질'의 모든 것
2020.10.06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돼 교차면역을 발휘할 수 있고 2) ACE2와 TMPRSS2 등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
하는 인체세포 표면 단백질의 발현이 적다. 3) 2형 도움T세포가 많아 선천면역 기능이 활성화되고 4) 호산구는 증가하고 5)사이토카인 분비는 줄어 중증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PNAS 논문 캡쳐 Q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5
C형 간염 바이러스의 RNA 유전자 지도에서 특징이 밝혀지지 않은 영역이 복제에
관여
한다고 생각했다. 또, 바이러스에서 관찰한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한 후 변이가 일어난 부분이 복제를 방해한다고 가정했다. 라이스 교수는 먼저 유전 공학적인 기법을 이용해 변이가 일어나지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꼽히는 광유전학 분야 기틀을 다진 학자들도 주목 받고 있다. 다수의 신호전달체계에
관여
해 암 생물학에 큰 영향을 미친 윈트(Wnt) 신호전달경로를 연구해 동물실험 외에 약물을 실험할 수 있는 오가노이드를 개발한 연구자도 꼽혔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면역과 백신 개발에 큰 영향을 끼친 ... ...
뇌가 낯선 공간을 기억하는 원리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경쟁 학습 모델을 통해 재현했더니 이끼 세포 역시 과립세포와 상호작용해 공간 기억에
관여
했다. 이끼 세포 자신은 공간을 학습할 때 이렇다 할 변화가 없지만, 이끼 세포의 활동이 과립세포가 사물의 위치정보를 공간 기억으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세바스천 로열 책임연구원은 “이 연구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