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❶ 식물이나 동물의 몸에 저장된 비타민 C는 물과 결합한 형태로 몸 속으로 들어온다❷
DNA
를 파괴하는 등 몸에 해로운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를 찾아 수소 총알을 발사한다.❸ 수소 총알을 맞은 활성산소는 마치 그물에 꽁꽁 묶인 듯 힘을 쓰지 못한다. 임무를 마친 비타민 C는 다른 모습으로 변신한다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전세계의 서로 다른 52개의 집단, 1056명의 혈액샘플에서
DNA
를 분석해서 얻어낸 결과였다. 하지만 이 다섯 인종 간의 유전적 차이는 불과3~5%. 이 차이가 머리색부터 키, 코의 생김새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 가장 큰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곳은 아프리카와 호주이다. 반면 한국,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통통해졌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마도 선박에서 찾아낸 곡물의
DNA
를 분석해 현재 곡물과 같은 품종인지, 곡물이 어떤 방향으로 개량됐는지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지난해 발굴했던 마도 1호선에서는 용도를 알 수 없는 원통형 나무토막이 발견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불을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뽑아내 새와 공룡의 진화 과정을 유전자로 밝혀내는 연구를 시작했다”며 “화석에서
DNA
를 뽑아내는 게 굉장히 어렵지만 한국 공룡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유전됩니다. 이를 위해
DNA
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복제가 용이한 구조로 이뤄져 있습니다.
DNA
를 구성하는 두 가닥의 염기쌍은 서로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에 어느 부분에서 손실이 일어난다고 해도 반대쪽 염기쌍에 의해 손상된 부분을 다시 원상태로 돌릴 수 있습니다. 예시답안 전문가 클리닉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접근하면 경로 찾기가 쉬워져. 최근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인 레너드 아들만이
DNA
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어.해밀턴 경로문제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SARS)나 조류인플루엔자, 광견병 등의 질병을 연구할 수 있게 해 준다. 보통 근육 조직이
DNA
를 추출하는 데 유리해 야생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연구하는 데 쓰고, 나머지 시료는 질병을 연구하는 데 주로 이용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Part 1. 살아남은 50%의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강조했다. 맥그래스 교수가 분자생물학을 처음 접할 당시는 생물학계가 왓슨과 크릭의
DNA
구조 발견으로 인해 급속한 성장기에 접어들 때였다.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맥그래스 교수는 끊임없는 발견과 새로운 연구 성과에 고무돼 있었지만, 어느 순간 자신의 연구가 과거 선배 과학자들이 일궈 놓은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박사는 100만 원에 개인게놈을 분석하는 시대가 3년 뒤에는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
분자 한 가닥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하버드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팀을 비롯한 여러 연구팀에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현재는 미국의 ‘23앤드미’ 같은 회사들이 고객 게놈의 극히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팀은 자생한방병원과 공동으로 봉독의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DNA
칩을 이용해 봉독이 염증유발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배 교수는 “봉독의 경우 자체가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게 아니라 인체의 면역세포의 활동을 조절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