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산균, 정말 장 끝까지 살아남을까?→ 핵심은 생존력! 소구 균수를 확인하자 먹는 형태의 유산균 제품이 장까지 도달하려면 pH가 낮은 위를 통과해야 한다. 문제는 강력한 위산 때문에 유산균이 온전히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이다. 유산균의 생존력이 중요한 이유다.안희윤 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과정입니다. 디자인의 의미를 ‘조형 작품이나 제품의 형태, 색, 장식을 계획하거나 도안하는 것’에서 ‘주어진 작업을 의미 있게 만드는 기획’으로 확대한 것입니다.디자인 싱킹은 예술이나 건축 분야를 넘어 경영과 교육 등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모든 ... ...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정공(양전하)이 많은 반도체 물질을 나란하게 놓고, 두 반도체 물질의 양쪽 끝을 필름 형태의 구리 배선으로 연결해요. 여기에 전류를 흘리면 반도체 물질 안의 전하와 정공이 한쪽으로 쏠리는데, 쏠린 쪽은 뜨거워지고 반대쪽은 차가워져요. 이처럼 다른 종류의 반도체 물질을 연결시켜 전류를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세계를 들여다보면, 우리가 평소에 친근하게 접하는 전자기력이나 중력과는 다른 형태의 힘을 연구할 수 있어요. 특히 쿼크가 떠다니는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게 핵물리학자의 과제지요. 이를 위해 전 세계 수천 명의 연구자들이 가속기와 그 주변에서 일해요. 이들은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협력해 2019년 9월 자체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지포스 나우(GeForce NOW)’를 클라우드 게임 형태로 국내에 출시했다. 클라우드 게임은 확실한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게임을 본인의 단말기에서 하는 게 아니라, 고성능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서 구동하기 때문에 서버에 초고속 인터넷으로 접속할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0가지 정도의 수치를 잰다. 눈부터 귀까지의 거리 등을 기록한 수치만 보고도 개체의 형태를 유추할 수 있도록 꼼꼼히 기록한다. 그 다음 사체의 속을 들여다본다. 고래는 물속에서 추위를 견디기 위해 피부 아래 두꺼운 지방층이 있다. 서식하는 수온에 따라 지방층의 두께가 다른데, 북극해에 사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변을 가진 정다각형의 회전 대칭 군인 순환군 Cp,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16가지의 리(Lie) 형태의 군, 그 외에 다른 성질을 가지는 26가지의 ‘산재군’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분류 정리에 이바지한 수학자를 뽑으라면 많은 사람의 이름이 나오겠지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수학자는 모든 증명을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작곡에 사용하는 기타는 현악기로 앞뒤가 편평한 표주박 모양의 공명통에 6개의 줄을 댄 형태다. 왼손가락을 프렛 위에 놓고 오른손가락으로 줄을 튕겨 연주한다. 이때 줄이 6개밖에 되지 않는데도 여러 음을 낼 수 있는 이유는 왼손으로 어디를 잡느냐에 따라 튕기는 줄의 길이가 달라지고, 이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많아 가능했지요. 또 지난해 10월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김민경 교수는 홀로그램 형태로 교양과목 수업을 3곳의 강의실에서 동시에 진행했답니다. 가상에서 SNS해요! ‘4D+ SNS’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다면 비대면 시대가 더 재밌어질 거예요. 지난해 10월 ... ...
- [과학뉴스] “음식이 상했어!”라고 알려주는 스티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보여요. 그러다 상온에 노출되면 나노섬유의 구조가 바뀌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뀌지요.그 결과, 나노섬유가 투명해지면서 필름 뒤에 있던 이미지가 드러나는 거예요. 뒷면 이미지의 선명도에 따라 상온에 몇 시간 노출됐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연구팀은 “스티커 한 개에 10원으로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