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지상세포의 발견으로 재정의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73년 미국 록펠러대 면역
학자
였던 랠프 스타인먼은 전자현미경으로 비교적 너비가 넓고 긴 나뭇가지 모양의 촉수를 촘촘히 가진 세포를 발견했고, 그리스어로 ‘나a무’라는 뜻인 덴드론(dendron)을 따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라고 이름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후 그 미지의 성분이 박테리오파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박테리오파지는 생물
학자
들에게 유용한 실험 재료로 자리매김했다. 박테리오파지를 박테리아 배양액으로 쉽게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짧은 시간에 증식해 실험 결과를 곧바로 얻어낼 수 있다.델브뤼크와 루리아는 박테리오파지 증식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898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에서 일하던 보르데는 한 가지 업적을 더 남겼다. 당시 면역
학자
들은 병원체 침투 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연구하기 위해 박테리아(세균)를 배양했다. 박테리아는 빠르게 번식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면역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항원의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987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생리의학상 최초로 아시아 출신 과
학자
에게 수여됐다. 주인공은 일본의 분자생물
학자
이자 면역
학자
인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 ... 각각 2016년과 201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으며, 2020년에도 4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신경과
학자
로서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1년, 영국 옥스퍼드대 생물학과 강사였던 피터 브라이언 메더워의 집에서 약 180m 떨어진 곳에 영국 비행기 한 대가 추락했다. 조종사 ... 때문”이라며 “이 영광을 자연과 질병에 관한 기초 원리를 찾고 있는 모든 기초 과
학자
들에게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탐험가가 이스터섬에 도착했을 땐 인구가 2000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 휑한 섬이었어요. 과
학자
들은 그 원인을 인구가 늘어나 환경이 지탱할 수 있는 한계를 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연구팀은 이스터섬의 사례를 토대로 문명이 발전하면 필연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데 문명이 이를 어떻게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없다고 여겨진 화산마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영국의 생태
학자
크리스 토마스는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시간에 따른 대상의 변화 궤적을 살펴볼 수 있는 수학적 도구야. 미국의 통계
학자
인 벤트 뮤텐이 개발한 모형이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이 여러 명일 때 개개인의 변화뿐 아니라 각 개인 간의 차이, 세분화한 잠재 집단의 특징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연구 대상인 청소년의 수면 시간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옮겨진다.모기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스코틀랜드 바이러스
학자
알렉산더 해도우는 연구 도중 지카 숲의 특정 모기가 인간 감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숲의 이름을 따서 지카 바이러스라고 이름 붙였다. 이후 지카 바이러스는 몇 차례 감염 사례가 나왔지만,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출신의 동물
학자
로 정부의 압력을 피해 이탈리아 시칠리아 북동부로 피신한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1882년 배아 상태의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넣고 그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이때 한 무더기의 세포가 찔린 부위로 이동해 손상된 조직을 먹어 치우는 것과 같은 장면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