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지상세포의 발견으로 재정의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73년 미국 록펠러대 면역학자였던 랠프 스타인먼은 전자현미경으로 비교적 너비가 넓고 긴 나뭇가지 모양의 촉수를 촘촘히 가진 세포를 발견했고, 그리스어로 ‘나a무’라는 뜻인 덴드론(dendron)을 따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라고 이름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후 그 미지의 성분이 박테리오파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박테리오파지는 생물학자들에게 유용한 실험 재료로 자리매김했다. 박테리오파지를 박테리아 배양액으로 쉽게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짧은 시간에 증식해 실험 결과를 곧바로 얻어낼 수 있다.델브뤼크와 루리아는 박테리오파지 증식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898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에서 일하던 보르데는 한 가지 업적을 더 남겼다. 당시 면역학자들은 병원체 침투 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연구하기 위해 박테리아(세균)를 배양했다. 박테리아는 빠르게 번식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면역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항원의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87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생리의학상 최초로 아시아 출신 과학자에게 수여됐다. 주인공은 일본의 분자생물학자이자 면역학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 ... 각각 2016년과 201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으며, 2020년에도 4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신경과학자로서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 있다. 백신 생산 과정에 유정란이 쓰이기 시작한 건 1932년부터다. 호주의 미생물학자인 프랭크 버넷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배양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유정란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이 크게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버넷은 처음으로 유정란을 이용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용 생백신을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 이른다고 예측한 거야! 한편, 2100년을 지목한 또다른 학자 프랭크 교수는 이스터섬처럼 역사상 존재했다가 멸망한 문명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행성과 문명 사이의 변화 양상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어. 문명의 발전에 따른 자원 보유량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성분 또는 유전물질의 특성에 따라 나뉜다.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ICTV)는 미국 생물학자인 데이비드 볼티모어가 집대성한 ‘볼티모어 분류법’을 모체로 바이러스를 분류하고 있다. 볼티모어 분류법은 유전물질의 특성에 따라 바이러스를 분류한다. 바이러스의 유전체가 DNA인지 RNA인지, 이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HTLV· Human T-lymphotropic virus)’에 대한 항체를 바이러스에 투입했다. 하지만 두 과학자가 발견한 바이러스는 HTLV가 아니었다. 몽타니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레트로바이러스 종일 것이라고 보고 ‘림프절종 관련 바이러스(LAV· lymphadenopathy associated virus)’라는 이름을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87년 FDA 승인을 받은 아지도티미딘(AZT· Azidothymidine)이다. 아지도티미딘은 미국의 화학자 제롬 호로비츠가 1964년 백혈병 치료제로 처음 개발했다. 아지도티미딘도 스타부딘과 유사한 티미딘 유사체로 암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는 기능이 있었다. 1986년 미국의 제약회사 버로우즈-웰컴(현재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구름이 만들어지고 눈, 비가 내리는 등의 날씨 변화가 나타납니다. 19세기, 영국의 기상학자 제임스 글레이셔는 하늘의 끝이 궁금했어요. 그는 열기구를 타고 대류권 꼭대기인 10km 높이까지 올라갔지요. 고도가 높아지면서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고, 기압도 낮아져 의식을 잃는 사고도 있었어요.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