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
학자
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업적이 지나치게 높이 평가받은 것 같아서 두려웠지만 노벨이 자신의 삶을 지식에 바친
학자
에게 보상하고자 주는 상이란 점에서 용기를 얻었다”고 말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구름이 만들어지고 눈, 비가 내리는 등의 날씨 변화가 나타납니다. 19세기, 영국의 기상
학자
제임스 글레이셔는 하늘의 끝이 궁금했어요. 그는 열기구를 타고 대류권 꼭대기인 10km 높이까지 올라갔지요. 고도가 높아지면서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고, 기압도 낮아져 의식을 잃는 사고도 있었어요.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탐험가가 이스터섬에 도착했을 땐 인구가 2000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 휑한 섬이었어요. 과
학자
들은 그 원인을 인구가 늘어나 환경이 지탱할 수 있는 한계를 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연구팀은 이스터섬의 사례를 토대로 문명이 발전하면 필연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데 문명이 이를 어떻게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없다고 여겨진 화산마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영국의 생태
학자
크리스 토마스는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지상세포의 발견으로 재정의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73년 미국 록펠러대 면역
학자
였던 랠프 스타인먼은 전자현미경으로 비교적 너비가 넓고 긴 나뭇가지 모양의 촉수를 촘촘히 가진 세포를 발견했고, 그리스어로 ‘나a무’라는 뜻인 덴드론(dendron)을 따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라고 이름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름을 연구자 명단에 넣기도 한답니다. 천문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아도 천문
학자
의 연구에 기여하고, 논문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니 멋지지 않나요? 여러분도 지금 바로 외계행성 탐색을 시작하세요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역병으로 공포에 휩싸였다.이 무렵 수단에서도 비슷한 감염병이 돌았다. 벨기에 바이러스
학자
피터 피오트 박사는 수단 환자의 혈액과 조직 시료를 받아 새로운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1983년 이 미지의 바이러스는 자이르에서 유행한 바이러스와 같은 에볼라바이러스지만, 다른 종이라는 사실이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HTLV· Human T-lymphotropic virus)’에 대한 항체를 바이러스에 투입했다. 하지만 두 과
학자
가 발견한 바이러스는 HTLV가 아니었다. 몽타니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레트로바이러스 종일 것이라고 보고 ‘림프절종 관련 바이러스(LAV· lymphadenopathy associated virus)’라는 이름을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987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생리의학상 최초로 아시아 출신 과
학자
에게 수여됐다. 주인공은 일본의 분자생물
학자
이자 면역
학자
인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 ... 각각 2016년과 201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으며, 2020년에도 4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신경과
학자
로서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