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프로펠러에 의한 공동현상이 생기지 않아 진동이나 소음이 없다. 또 함정의 외형을
최대한
유체저항이 적은 유선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스텔스 성능과 유체성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획기적인 잠수함을 개발할 수 있다. 미국은 1960년대 이후 해군과 민간 기업이 합작해 연구했으며 ... ...
폐 검사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몇 차례씩 병원에 가서 폐 기능을 검사해야 한다. 검사에는 폐활량계를 이용한다. 공기를
최대한
들이마신 뒤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빠르게 내뿜는 방법이다. 의사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 목구멍이 점액에 덮여 아져 있는지를 파악한다.기존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이 방법을 흉내 냈지만 ... ...
내장형 저전력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외국까지 가서 일만 하다 오면 아쉽지 않을까. 장교수는 “연구원들에게는 노력한 만큼
최대한
보상을 해주려 한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주요 학회를 끝낸 뒤 귀국하기 전에 주말을 이용해 단체로 캠핑을 가 그 동안의 피로를 푼다고 한다.마지막으로 어떤 기준으로 연구원을 선발하느냐고 묻자 장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과정에 무려 30년 가까이 걸렸다.‘사용후 핵연료 정책포럼’은 임시저장 시설을
최대한
오래 사용하면서 2024년 이전까지 중간저장시설을 완공해야 한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중간저장시설은 영구 처분장으로 옮기기 전에 수십 년 동안 사용후 핵연료를 보관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이런 ... ...
꼭 그런 얘길 해야겠어?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있나요. “갑자기 무슨 소리야. 내가 널 얼마나 좋아하는데~.” 짐짓 별일 아니라는 듯이
최대한
간드러진 목소리로 애교를 떨어보았지만, 여자친구의 반응은 시원찮았습니다. “오빤 좀 그런 게 있어….” 소년은 답답했습니다. 이전에도 종종 이런 표현을 들었거든요. “뭔데? 뭔지 말을 해야 알지~ ... ...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프리즘) 등의 광학 장치를 배치했다. 필름에 맺히는 영상과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영상을
최대한
일치시켜 콤팩트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한다. 렌즈에 비친 화상을 초점 스크린에 투사함과 동시에, 직접 반사해 뷰파인더에 정확히 맺히게 만든다.이런 구조 때문에 카메라 크기가 크고 내부 공간도 ... ...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새로운 공정방식을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자의 창의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서울대 정밀공학연구실에서는 이를 위해 실험 방법 뿐만 아니라 가공하는 기계까지도 연구자 본인이 직접 설계하고 만들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현재 주요 연구 ... ...
녹조라떼의 구세주 천연 조류제어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최근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녹조 현상이 악화되고 있다는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4대강 공사로 보를 쌓아 올려 물을 정체시켜 영양염류를 쌓이고 이로 인 ...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덜 입증 되었지만 정말로 친환경적이라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최대한
빨리 이 ‘대재앙’을 해결해야만 한다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켜지도록 만든 신호체계를 ‘연동신호체계’라고 한다. 신호를 기다리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 도로에서 차량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제 연동신호체계를 사용하기 전과 후를 비교해 보자. 그림➊은 연동신호체계를 사용하기 전, 자동차가 이동할 때 교차로에서 신호와 어떻게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사회적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는 새의 약 90% 정도에서 이런 ‘짝외교미’ 현상이 나타난다.
최대한
많은 정자를 확보하라짝외교미, 더 나아가 ‘일처다부’는 진화생물학의 큰 수수께끼다. 보통 수컷은 여러 마리의 암컷과 교미를 할 때 많은 자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암컷이 가지고 있는 난자의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