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학"(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몸을 움직이거나 감각을 느낀다.다리 수가 같아도 걸음걸이 달라져마침내 미국 보스턴대 의학연구소 짐 콜린스 박사팀은 척추의 신경세포망이 전기신호를 회로로 내보내 다리가 움직이는 리듬과 패턴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그 과정을 단순화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네발동물은 좌우 네 ...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연구가 맞다는 거잖아요.기: 끝까지 들어봐요. GDF11에 대해 연구하던 미국 노바티스 생명의학연구소 데이비드 글래스 박사팀은 웨이저스 교수팀의 결과를 보고 ‘우리가 실험 과정에서 빠뜨린 게 있나?’라고 고민했다고 해요. 지금까지 알려져 왔던 것과 정반대의 결과였으니까요. 다시 연구에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난 7월,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한 해 동안 인터넷 중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3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다고 발표했다. 이 비율은 성인(11.3%)의 약 2.6배(29.2%)나 될 뿐 아니라 2011년(11.4%), 2012년(18.4%), 2013년(25.5%)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성인보다 청소년 ...
- 비만 탓 남성 유방암 증가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스피어 교수팀은 이런 남성 유방암 증가가 과체중, 비만과 관련 있다는 연구를 ‘BMC 의학’ 6월 4일자에 발표했다.스피어 교수는 지방 세포에 들어있는 효소가 남성 호르몬(테스토스테론)을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으로 바꾼다고 지적했다. 실험 결과 체질량 지수(BMI)가 25 이상인 남성은 혈중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세르 교수, 에드바르드 모세르 교수도 쥐의 뇌를 연구한 결과로 2014년 10월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어요.1971년 존 오키프 교수는 쥐의 뇌에 전극을 꼽고 실험하다가 특정한 장소에 가면 활발하게 전기 신호를 내는 세포를 발견했어요. 해마에 있는 이 세포는 아주 넓은 공간에서도 신기하게도 한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인제대 서울 백병원 신장내과와 서울대 의과대학 정보의학실, 시스템 바이오 정보의학 국가핵심연구센터는 지난 3월, 신장병 환자가 본인의 의료 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해 언제 어느 병원에서든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아바타 빈즈’라는 앱을 개발했다.병원에서 환자가 투석받는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병원에서는 면역증강제인 인터페론제를 사용해 치료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영국의학전문저널 ‘랜싯(Lancet)’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메르스에 걸린 환자에게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과 인터페론제 ‘페가시스주’를 투여했을 때 생존자 수가 2배 가량 늘어났다. 완치된 사람의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예정이다. 닥터 엑소브레인은 한 달에 5시간밖에 공부할 시간이 없는 의사들을 위해 최신 의학 정보와 처방 결과 등을 알려주는 의사 보조 시스템이다.“전문가 수준의 지식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산업환경에서 신 산업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2020년을 전후로 분명 큰 시장이 열릴 거예요. 그 때까지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전 정보를 해석하고, 의학문헌에서 관련정보를 단 몇 분만에 찾아내는 등 충실한 의학 조언자로 변모하기 위해서다. 인공지능의 새로운 황금기가 도래한 것이다. 이미 대중과 언론은 터미네이터 같은 초지능의 가능성을 진지하게 점치고 있다. 두 번의 암흑기를 겪은 과학자들의 입장은 다소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학습하는 인공지능이 의사를 대체한다는 건 거짓말에 가깝습니다. 어디까지나 새로운 의학 지식을 빨리 습득하고 오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자일 뿐이죠. 인공지능이 개발되면 사라질 직업 1순위가 기자라는 말을 많이 하지만, 저는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단신은 로봇이 쓰고 인간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