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약
압착
액화
응축
축약화
압축가스
가스
d라이브러리
"
압축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곱으로 나타냈다. 또한 맥스웰은 패러데이가 생각한 역선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 편리한
압축
되지 않는 유체로 생각했다. 이러한 유체의 속도를 전기력(또는 자기력)의 세기(역선밀도)로 보고, 유체가 흐르는 방향(유선의 방향)을 전기력(또는 자기력)의 방향(역선방향)으로 보았다. 즉 공기중에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가지고 있는 물질과 에너지는 한 점, 즉 특이점으로
압축
될 것이다.물질과 에너지의 무한
압축
때문에 시공의 곡률은 프리드만 특이점에서 무한대로 된다. 더구나 모든 현재의 과학적 이론은 시공을 배경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모든 이론은 이러한 특이점에서 붕괴되고 말 것이다. 마찬가지로 특이점 ... ...
과자속에서 요정이 춤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1987년에 이 회사를 차렸다.홀로그램은 영상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미세한 형태로
압축
시킨 것. 복잡한 홀로그램은 물체를 3차원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홀로그램으로는 신용카드에 위조방지용으로 붙은 조그만 실(seal). 베글라이터는 이를 음식물에 적용시킨 것이다.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 지역을 회복시키는 방법들을 고안하고 있다.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방법은
압축
된 증기가 공기속으로 사라져 버리기 전에 이를 이용해 찬물을 온천지대속으로 주입시키는 것이다.그러나 그렇게 하더라도 가뭄으로 물이 귀한 까닭에 작업가들은 그 지대의 원기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수도관을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미국의회의 지원을 받아 실시한 패널토론회에서는 현재의 위기상황을 네가지 정도로
압축
해 진단했다.그 첫째는 지역토착의 야생송어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미네소타 대학의 카프친스키박사는 "현재처럼 야생송어 본연의 양육방식을 보호하기 보다는 편의상 그들의 알을 구해다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형상보다 약간 나은 정도였다. 그러자 윌리엄스는 70장의 그림을 플로피디스크 한장에
압축
시킬 방법을 생각해 냈다. 그 당시 조금이라도 애플컴퓨터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불하다고 생각한 작업이었다. 그림 전체를 입력시키지 않고 어셈블리 명령어를 사용해서 모든 그림에 나타난 각각의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양수 발전소에서 이용하고 있는 기술이다. 외국에 서는 심야전력으로 대량의 공기를
압축
시켜 지하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발전에 이용하는 기술도 실험하고 있다.또한 21세기에는 새로운 전지(電池)가 개발되고 초전도기술이 확립되어 대규모 전력 저장에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작은 ... ...
태양표면 폭발로 지구 자기폭풍발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지구로 오는 전자, 양성자 등의 입자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지구자기장이
압축
돼 강도가 증가하고 오로라가 발생한다.자기폭풍 동안에 중위도 지방에서는 나침반 방향이 1°정도 움직이며 고위도 지방에서는 그보다 더 심하게 변화한다. 오로라도 저위도 지방까지 이동하는데 이번의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때는 음이 전파하는 속도, 즉 음속보다 항공기가 빨리 전진하기 때문에 공기가 갑자기
압축
돼 충격파(shock)가 생긴다. 실제 항공기에서는 복잡한 형태의 충격파가 생기나 지상으로 전파되면서 단순한 N파 형태로 나타난다. 항공기가 진행하면서 이 파동의 전후에서 순간적인 압력 변화가 있으므로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따라서 중성자들은 더욱 서로 가깝게
압축
될 수 있고 개개의 쿼크로 깨져 또다시 더욱 더
압축
되어 보다 밀도높은 별을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한 쿼크별은 물질로 형성된 가장 밀도높은 물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쿼크조차도 부서질 수 있고 이 경우 별은 질량만 가지고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