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각
싯점
때
어떤 특정한 때
순간
d라이브러리
"
시점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중요한 고리를 연결하고 있다.뱀의 해를 맞아 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한
시점
이다. 인간에 의해 자연생태계의 평형이 깨지면 우리는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반드시 지불해야만 한다.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서식처 파괴, 과도한 농약의 사용으로 먹이의 감소, 그리고 보신문화에 따른 무분별한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발생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이 운석공이 공룡이 사라진
시점
인 약 6천5백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것은 공룡멸망의 원인이 운석에 의한 충돌 때문이라는 설을 뒷받침하고 있다.20세기에 경험할 수 있었던 대규모의 충돌로는 1908년 시베리아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러나 양자컴퓨터는 단 한번에 모든 이름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그
시점
에서 결과를 프린트하도록 프로그램한다면, 고전적 알고리듬에 비해서 더 나아진 것은 없다. 왜냐하면 결과에 대한 측정은 그 중 오직 하나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1백만개의 경로 중 오직 하나만이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똑같은 형태로 복제될 수 없습니다. 95% 전후로 유사할 것이라고 봅니다. 같은 시기,
시점
에서 다수를 복제하면 모두 똑같아야 할 것 같지만 조금씩 다릅니다.상준_ 이론적으로는 일란성 쌍둥이가 돼야 하는데 안된다는 말이시군요.성환_ 얘기가 너무 딱딱해지고 있는 것 같은데…. 영화 자체로 느낀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다급해진 일본은 4천만달러를 추가로 게놈프로젝트에 투입해 완료
시점
을 2004년으로 앞당기게 됐다.6배 바가지 쓰는 미국벼 게놈프로젝트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상당히 흥미롭다. 당초 미국은 벼 게놈연구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미국은 1997년 옥수수 재배농들의 압력에 의해 ... ...
오존구멍 위험 알린 파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1985년 네이처 5월호에 영국의 남극조사팀을 이끈 파먼과 그의 동료들이 함께 작성한 보고문이 실렸다. 이 글에는 남극지방 상공 성층권의 오존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관측결 ... 사례다.이제 인류는 오존층 파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
에 서있다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바닷길의 이름은 서해대교.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다리이며, 세계에서도 아홉번째(설계
시점
기준) 규모를 자랑하는 거대한 해상 구조물이다.서해대교의 규모를 글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왕복 6차선으로 만들어진 서해대교의 총연장은 7.31km. 한강에 놓여 있는 다리 일곱개를 일렬로 나열한 길이다. ... ...
복제인간 탄생 초읽기에 들어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마릴린 먼로와 히틀러. 이들이 복제를 통해 다시 살아난다면 어떨까. 생명복제기술은 이미 신의 영역에 들어서 복제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수준이다.영국의 선데이 타임스 ... 윤리적·종교적 규범에 의해 젠한돼 왔다.인간복제실험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할
시점
이다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관측장비로 측정한 자료를 전송해왔다. 약 1년으로 계획된 임무기간 중 절반 이상 지난
시점
에서 그동안 밝혀진 에로스의 진면목을 살펴보자.소행성 에로스는 지구근접 소행성 중 두번째로 크고, 가장 먼저 발견돼 이제까지 지상관측을 통해 그 모양과 크기가 어느 정도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제는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동안 끊임없이 고민했던 물음, 즉 종교 현상이 과연 실재하는 것인지로 환원된다. 이
시점
에서 정신분석학자 칼 구스타프 융이 그의 저서 ‘비행접시들’에서 UFO 현상을 종교적인 체험으로 연관시켰던 사실을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종교현상에서 “인간은 자신을 심령적으로 압도하는 타자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