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각국에서 연구를 위해 다량의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공개된 각종 분야의 데이터 가운데에는 미술 작품도 포함돼 있었다. 구글 아트 프로젝트 ‘구글 아트 앤드 컬처’를 비롯해 디지털 갤러리가 활성화되면서 수만 점의 고해상도 예술 작품이 공개됐다. 작품을 데이터과학으로 ...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높아지고 있다.허 부팀장은 “새로운 품종을 만든다는 것은 생리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해 실제 현장에 기여하는 일”이라며 “화훼연구자가 된다면 내가 만들고, 내가 이름 붙인 품종이 사람들에게 널리 이용되는 색다른 경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면에서 목표 기준치를 초과 달성해 상용화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로 저명한 국제학술지 ‘클리너 프로덕션 저널’에 실렸다. doi: 10.1016/j.jclepro.2019.118626 또 다양한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이용해 SOFC 시스템을 설계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에너지’에 실었으며, 신에너지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용해 이미지에서 물체의 패턴을 찾아 인식하죠. 딥러닝이 등장하기 전, 기계학습 분야에서는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해 경험적으로 패턴을 찾아 이미지를 인식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와 딸기 이미지를 학습하면 사과는 전체가 둥근 가장자리를, 딸기는 일부분이 둥글면서 각진 가장자리를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크고 무질서한 구조 속에서 작은 조화로운 부분을 항상 찾을 수 있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램지 이론’이라고 합니다. 1928년 영국의 수학자 프랭크 램지는 사람이 충분히 많다면 그중 서로 모두 아는 관계인 r명 혹은 서로 전혀 모르는 관계인 s명이 반드시 있다는 ‘램지 정리’를 발표했습니다.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하는데요. 강 교수님이 연구하는 수리사회학이나 요즘 화제가 되는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는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강 교수님은 수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나눈 대화를 예로 들어 설명했어요. 강 교수님은 “오늘 대화에서 중요한 단어 네 가지를 꼽아 보면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높다고 분석했다.이 연구에 참여한 김은숙 브라운대 화학과 교수는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형태의 저장장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며 “당장은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만큼의 효율을 내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새로운 형태의 저장장치가 폭넓게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고, IQSEC3 단백질의 새로운 작동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새로운 분야인 만큼 어려움도 있다. 사람에게 나타나는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는 연구는 실제 사람의 뇌 조직을 이용한 연구가 필수지만, 환자의 뇌 조직을 얻는 데 한계가 있다. 엄 교수는 이런 어려움을 해외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러한 자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밝히고 어디 있는지 찾는 일도 지질학의 한 분야입니다. 지질학자는 여행가! 저는 대학교에서 바닷속 지질을 다루는 해양지질학을 공부했어요. 처음에는 바다에 묻혀 있는 석유를 찾는 것이 꿈이었거든요. 이후 석회암을 연구하다 우연히 강원도 삼척에 있는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장소에서 사람들의 위치나 이동 방향, 옷차림 등의 정보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죠.이 두 분야를 연구할 때 합성곱신경망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나열해 만든 데이터인데, 1초당 5~60장의 이미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합성곱신경망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계산 방식은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