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d라이브러리
"
발명
"(으)로 총 1,75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많지만 평생 자식과 함께 갈 이름이기에 소홀히 할 수 없다. 언제나 새로운 발견이나
발명
속에 사는 과학자는 어떨까. 자신의 이름을 따는 평범한 유형부터 사상과 철학까지 오롯이 녹여내는 신중파까지 재미있는 과학계의 작명법을 만나보자.신약 장수 비법은 이름?갑자기 몸이 으슬으슬 떨려오고 ... ...
로그로 표현하는 리히터규모와 데시벨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네이피어에게 감사의 편지를 쓰기도 했다.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는 “로그의
발명
은 천문학자들이 계산하는 수고를 덜어줘 그들의 수명을 두 배로 늘렸다”고 말할 정도였으니 로그가 계산을 얼마나 쉽게 만들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로그는 수학의 역사에서 갈채를 받았다. 그 이유는 ... ...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2. 좋은 디자인을 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기둥에 붙일 수 있다. 고정관념을 깬 그들에게 돌아온 선물은‘타임’지의‘2006 올해의
발명
품’이었다.어떤 일이든 익숙해지는 건 좋아. 우리가 쓰는 물건도 마찬가지. 하지만 디자이너가 되려면 익숙한 걸 피해야 해. 익숙함이 지나치면 자기도 모르게 고정관념에 빠진다구. 고정관념은 세상이 ... ...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생리혈 추출기를 사용하면 생리를 단 하루 만에 끝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발명
품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해 상품으로 나오지 못했다. 생리혈을 자궁에서 추출한다는 ‘황당한 발상’뒤에는 ‘여성의 고통’을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생리컵과 생리주머니200년 전만 해도 유럽과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속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영향이 문제가 된다미국의 세균학자 A 세이빈이
발명
한 경구용(經口用) 소아마비예방 생(生)백신 주사용으로 쓰이는 솔크 백신과는 달리 시럽 또는 과자처럼 생겼다이것은 독성이 전혀 없는 바이러스를 원숭이의 신장을 이용해 배양한 것으로 경구 복용하여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마륨(Ⅲ)화합물 화합물의 색은 결정·수용액이 모두 황색이다1791~1872 미국의 전신기
발명
자 매사추세츠주 찰스타운에서 출생 1810년 예일 대학을 졸업, 11년 영국으로 건너가 회화를 공부하고 귀국하여 초상화가가 되었다내셔널 디자인 아카데미의 초대 교장과 뉴욕 대학의 미술교수를 역임했다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발명
했다측정눈금판의 길이 약 30cm 부분에 5℃의 온도 간격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량의 100분의 1℃ 까지 측정 가능하다 이 온도계의 특정 은 상부에 U자로 굽어 진 수은류(水銀溜)가 있고 하부의 수은량을 ... ...
된장녀, 트랜스지방 탈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말했다.20세기 중반에 접어들며 트랜스지방의 해악이 속속 밝혀졌다. 인류 최고의
발명
품이었던 프레온가스가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드러나며 사용을 멈춘 것과 마찬가지다. 분당 서울대병원 심장센터 최동주 교수는 “트랜스지방이 몸에 쌓이면 혈액 속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며 심장병과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는 주장이라고 설명했다.새해에는 사랑을 표현해볼까타임지가 선정한 2006년 최고의
발명
품에는 허그셔츠도 있다. 디자인회사 큐트서킷이 개발한 이 티셔츠는 심장박동과 체온을 전달하는 특수센서를 달아 멀리 떨어져있는 연인과도 언제든지 포옹하는 느낌을 나눌 수 있다. 포옹도 디지털이라는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않다. 청소년들은 자석이나 공기 압축기를 이용해 잉크가 나오게 하는‘우주 펜’을
발명
해 우주정거장에서 써 볼 것을 제안했다. 무중력 공간에서 물이 어는 과정을 관찰하거나 중력이 변할 때 물방울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다.이 밖에 한국 우주인은 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