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d라이브러리
"
바위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분화를 일으킨 세계의 화산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토층을 녹인 농밀한 흐름으로 계곡바닥을 도려내고 거대한 나무를 쓰러뜨리며 커다란
바위
도 움직이는 분류였다.이런 흙탕사태는 옛날부터 화산기슭의 사람들이 두려워했다. 특히 자바섬에서는 이를 ‘라하르’라고하여 두려워하면서 특별히 관심을 가져왔다. 그것은 화산기슭의 화산성 토양이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전에 이 트윈기를 걸어서 횡단하려 시도했다가 면도날처럼 예리하게 깎인
바위
에 팔과 다리를 마구 찔려 상처투성이가 된채 중단하고 말았다. 마다가스카르인 과학자조차도 이렇게 되었던 것이다. 해가 지고 란드리아나솔로씨 일행은 텐트를 쳤다. 그가 램프에 불을 붙이자 놀란 앵무새들이 ... ...
국내최초로 문 연 유물전시관 중부고속도로에서 나온 유적·유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주목되는 유적. 기원전 10세기경의 청동기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고인돌은 '거북
바위
'로 불려져왔던 것으로 덮개돌의 크기가 3.1m×2.9m×1.4m나 돼 중부내륙지방에서 발견된 고인돌중 가장 큰 것. 이 유적에서는 갈판(碾石) 눈돌(精靈石) 머리를 받친 베갯돌(石枕)과 민무늬토기조각 등이 찾아졌다. 이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추정되는 거대한 운석이 시베리아를 강타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직경이 약 2백50피트되는
바위
덩어리나 직경이 80피트 정도 되는 쇳 덩어리일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어느 경우든, 그것은 초속 20마일 정도의 속도로 지구에 진입하여 대규모 수소 폭탄만큼의 피해를 가져왔을 것같다는 것이다(물론, ... ...
하늘에 가장 가까운 나라 티베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찬탄했다. 하늘을 찌를 것 같은 이 뛰어난 상상력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바위
와 건물의 선이 꼭 맞게 하는 기술은 어떻게 생긴 것인가. 엄청난 노동력은 어떻게 조직된 것인가. 암흑의 중세를 생각케 하는 티베트의 사회체제를 생각하면 저절로 아팠던 역사로 되돌아간다. 셰카르승원은 문화혁명때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천6백m 이상은 황산송과 몇가지의 고산식물만의 세계인 것이다. 기묘한 환상과 꿈의 고향
바위
와 소나무 등의 지상의 정화(精華)만을 얘기해왔지만 변환(變幻)이 끝이없는 구름도 빼 놓을 수 없다. 황산은 '예로부터 구름바다를 이루는 곳'이라하여 다른 이름으로 '황해'(黃海) 라고도 한다. 1년의 ... ...
가장 중요한 화석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있는 런던의 자연사박물관은 그것이 진품임을 확신하고 있으며, 뼈와 깃털이 동시에
바위
에 자국을 남겼다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는 미세한, 나아가 현미경적인 일치성이 존재함을 지적하고 있다. 호일은 현재 화석에서 암석의 조그만 조각을 얻어 시험해보길 원하고 있지만, 박물관측은 이를 ... ...
바다가 화석이 되었나 안데스의 소금대평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만들어왔다.이와는 달리 암염(岩塩) 염토(塩土) 염호(塩湖)와 같이 소금으로 이루어진
바위
나 땅 호수가 있어 자연이 비축해둔 소금을 이용하는 곳도 많다. 소금의 대지로 떠나다그런 대지의 소금을 보러 필자는 안덴스를 향해 떠났다. 목적지는 볼리비아의 '위우니'염호(塩湖)와 칠레의 '아타카마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모처럼의 계획에도 불구하고 1956년 3월8일 '오포보호법' 발령 2일후 '오포'는 가련하게도
바위
틈에서 사채로 발견됐다. 원인은 밀렵꾼이 터뜨린 다이너마이트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추측되었다.돌고래는 그 고기맛이 좋고 또 기름을 얻기 위하여 마구잡이로 잡는 일이 많았다. 1884년 11월15일부터 198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약50마리. 쇠백로 3백50여마리, 괭이 갈매기 2백여마리들과 이웃하여 이 섬의
바위
틈에서 자생하는 쑥과 명아주(1년초)를 깔아 둥우리를 만들어 살고있었다.50여마리중 절반정도는 새끼들이어서 조류학자들은 이곳에 살고있는 노랑부리백로의 수는 1백마리가 넘고 나머지 50마리 정도는 먹이를 찾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