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외모로는 구별할 수 없는 것일까. 복제된 인간은 ‘원본’의 또다른 분신일까 아니면
단지
시간차를 두고 탄생한 일란성 쌍둥이에 불과할까. 체세포 제공자와 동일한 DNA를 갖고 태어나는 복제인간은 어떤 특징을 갖는지 과학자의 얘기를 들어보자.지난 2002년 크리스마스를 하루 넘겨 발표된 인류 ... ...
지질학자와 떠나는 온천 탐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온천이란 글자 그대로 따뜻한 물이 지하에서 솟아나는 샘이다. 따뜻하다는 것의 기준은
단지
우리 인체가 느끼는 추상적인 단어일 뿐이다. 반대로 냉천도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 인체가 차갑다고 느끼는 온도의 물이 지하에서 솟아나는 것이다. 사전에 의한 온천의 정의는 ‘지열로 말미암아 땅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깝게 개발되고 있다물질이 용해하거나 증발할 때 온도 상승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단지
물질의 상태 변화에만 쓰이는 열암석체에 생기고 있는 금 혹은 틈을 말한다 즉 금이간 면을 경계로 하여 전이(轉移)가 없는 것이다 절리는 화성암에서 잘 나타난다 마그마나 용암이 냉각되어 고결할 때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돌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랍게도 은하 중심의 거대블랙홀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단지
태양과 명왕성 사이 거리의 3배였다. 태양보다 몇배 큰 S2별은 블랙홀의 사건 지평선 언저리에서 초속 5천km의 굉장한 속도로 돌고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가까운 곳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S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따르면 침팬지의 염기서열은 사람과 98.77%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고유의 특성은
단지
1.23%의 게놈 차이에서 나온다는 의미다.이처럼 원숭이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미국 오리건 영장류연구센터와 오리건 건강과학대학 공동연구팀이 ‘테트라’라는 이름의 암컷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검거의 서막을 알리는 빛인 것이다.핏자국이 말하는 것범행 현장에서 혈액의 역할은
단지
피해자나 용의자의 신원을 확인해주는데 그치지 않는다. 사건 현장에 남아있는 핏자국이나 그 퍼진 모양에도 많은 단서가 담겨있다. 핏자국에 대한 분석은 ‘액체인 혈액은 몸에서 떨어질 때 물리적인 법칙을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 로버트 와그너는 1이 된다.재미난 사실은 20만명이 넘는 할리우드의 거의 모든 배우들이
단지
2-3단계만 거치면 손쉽게 케빈 베이컨과 연결된다는 것이다. 물론 독자 여러분들은 이같은 게임이 가능한 이유가 할리우드 영화계가 좁은 세상이라는 데에 있다는 사실을 이미 눈치챘을 것이다.케빈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유 박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과학을 시작했던 이유가
단지
국가에 대한 의무감 때문만은 아니었던 셈이다. 특히 생물 분야에 대해서는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과학적인 호기심이 왕성했다. 그녀에게 생물학은 알고 싶은 것을 해결하는 수단이었다. 고등학교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비추는 플래시처럼 양 성운을 비추고 있다. 헤니즈 S22이라는 이 별은 양 성운에서
단지
25광년 떨어져 있는 초거성이다. 만일 양 성운에서 S22 별을 바라본다면 지구에서 보이는 금성보다 2백50배나 밝은 별로 반짝일 것이라고 한다.사진 속에서 양 성운을 그려보며 황금양의 아름다운 얘기를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어떤 기형적인 징후도 갖고 있지 않다며, 자신은 이번 복제인간 연구의 책임자가 아니라
단지
과학적·문화적 기여를 했을 뿐이라 설명했다. 복제인간 탄생 이후의 논란을 의식한 듯한 행동까지 취한 것이다.클로나이드의 브아셀리에 박사 역시 이전과 달리 구체적으로 연구의 진행 상황을 밝히고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