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핵력(약력)이 있다. 전자기력과 약력, 강력은 하나로 통일됐지만, 중력은 아직까지도 나머지 힘과 통일돼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초끈이론이다.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입자가 아니라 아주 작은 끈으로 보는 이론이다. 이 끈은 끊임없이 진동하는데, 진동하는 유형에 따라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는 동물인 진정후생동물(Eumetazoa)에서 포유류와 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이며, 나머지는 암컷이 더 큰 경우가 지배적이다. 암컷이 더 큰 이유는 앞서 말한 생식력 선택 가설(암컷이 무거울수록 더 많은 알을 낳는다)이 지지를 받지만, 설명하기가 어려운 생물도 많다. 일반적으로 포유류는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특정한 수로 나눈 나머지를 상대방에게 보내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나누는 수와 나머지 값을 알면 암호가 풀린다.➋ 땋임 암호머리카락과 같이 양쪽이 연결되지 않은 실 여러 가닥이 얽혀 있는 모양을 ‘땋임’이라고 하는데, 그 모양은 매우 다양하다. 이를 이용한 암호가 땋임 암호다. 우선 실을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패스한 횟수가 20번인데 반해 동료 선수에게서 공을 패스 받은 횟수는 12번이라면 나머지 8번은 상대편 선수에게서 공을 뺏은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빠진 것이 있다. 실제 패스가 골로 이어져 팀의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다. 수비 진영에서 시간을 끌려고 공을 돌리는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먹게 했어. 그리고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밥 먹기 전에 물 500㎖를 마시게 했고, 나머지 그룹은 마시지 않게 했지. 그리고 비교해보니 물을 마시지 않은 그룹보다 물을 마셨던 그룹의 사람들의 몸무게가 평균 2kg 더 줄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단다. 연구팀은 밥 먹기 전에 물을 마시면 포만감이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하와이주립대 연구진의 성과다. 연구진이 밝힌 2개의 유전자 중 하나가 SRY 유전자다. 나머지 하나는 EIF2S3Y 라는 복잡한 이름의 유전자다. 연구진은 수컷 생쥐가 될 수정란에 있는 Y 염색체에서 다른 유전자를 모두 제거하고 앞서 말한 두 개의 유전자만 남겼다. 그런데 이 생쥐가 정상적으로 성장한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리잡았다. 일본 노벨상 수상자 중 해외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학자는 단 네 명뿐이다. 나머지 15명은 모두 일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예 외국 체류 경험이 없는 극단적인 경우도 있었다.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토대 명예교수의 경우, 노벨상을 받으러 스웨덴에 간 게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집안 한 곳에 잘 모아두고 있다가 분리수거를 한다. 재활용 쓰레기는 공장으로 가고, 나머지 쓰레기는 소각장에서 태우거나 매립장에 파묻는다. 하지만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이 경로를 따를 수 없다. 너무나 유독해 파묻을 곳도 찾기 어렵고, 분리 기술도 아직 없다. 그 결과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다. 성비를 강제로 맞추다 이제 인류의 절반쯤은 염색체가 45개다. 22쌍, 그리고 나머지 하나. 1000만 년 전에는 조그마한 Y 염색체가 X 염색체에 붙어서 그나마 구색을 맞췄다고는 하는데, 이젠 그냥 사라졌다. 남성은 그냥 XO가 된 것이다. Y 염색체에 있던 생식 관련 유전자까지 모두 다른 염색체로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않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착한 행동에 1%라도 때가 묻으면 나머지 99 %가 선하더라도 그것을 선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착한 일에 대한 판단이 보수적인 것은 당연하다. 지난번에 소개한 ‘역겨움’처럼(과학동아 6월호) 선한 사람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기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