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대"(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인도 점토판에 기록한 뒤 불로 구워서 오랫동안 기록을 보전했습니다.그리스 수학 고대 그리스 수학은 에무데무스 요약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에무데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로 플로클로스의 유클리드 주석서 제1권에 그 당시의 수학에 대해 적어 놓았습니다.그리스 수학의 시작은 기원전 ...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이뤄진다. 정사각형 하나와 삼각형 네개인 피라미드와 조금 다르다.tetrahedron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4”를 뜻하는 tetra와 “면”을 뜻하는 hedra가 결합해 생긴 단어다. 조금 전에 나온 cylinder와 비슷하게 밑면이 다각형인 기둥 모양의 공간도형도 있다. 바로 각기둥으로 영어로 prism이다. ...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쉽게 설명하는 이종필 연구원의 ‘샐러리맨 전 차장이 아인슈타인이 되기까지’와 고대 엔지니어 입장에서 신화를 탐색하는 맹성렬 우석대 교수의 ‘피라미드 문명의 코드’도 눈길을 끈다.그렇다고 사이언스온이 기자와 과학자의 글 놀이터만은 아니다. 생활인의 눈에서 과학을 바라보기도 한다. ...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조종하는 저그 vs 지구의 미생물·기생충저그는 ‘젤-나가’라는 고도로 발달한 고대 종족이 창조한 생물체다. 저그는 숙주 동물의 살을 파고들어가 숙주와 결합하는 적응능력이 뛰어났다. 초기에는 자그마한 곤충에 불과했던 저그는 이런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숙주와 끊임없이 결합하면서 ...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급하시지.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미노타우로스가 갇혀 있었던 미로는 고대 미로로 길만 잘 따라가면 중앙에 도달해요. 그런데 사람들은 미로의 모양을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의심해요. 즉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것을 반복하다 결국 길을 잃고 말죠. 전 제가 ... ...
- 밀레니엄 문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문제로, 이를 증명하면 공업이나 상업, 컴퓨터의 미래는 크게 바뀔 것이다.2. 리만 가설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소수가 끝없이 계속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리고 1859년 독일의 수학자 리만은 소수가 어떤 규칙에 따라 배열돼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만약 소수의 규칙을 발견한다면 수에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자신 이외에는 어떤 수로도 나눠지지 않는 소수는 수학의 영원한 미스터리다. 소수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소수가 발견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소수는 무려 1300만 자리수로 수천 장의 종이가 있어야 겨우 쓸 수 있다.소수의 배열에 일정한 ...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높이 사 신약의 일부를 주노라.”사제는 신약의 일부로 마을의 질병을 고칠 수 있었다.고대 그리스 사람들도 정육면체에 대해 알고 있었어요. 정육면체는 속이 차 있는 정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도형이에요. 즉 면이 6개인 도형이지요. 반대로 속이 비어 있는 사각형, 막대로 만든 정사각형기둥은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정수를 말한다. 예를들어, 6을 제외한 양의 약수 1, 2, 3을 더하면 6이 되므로 6은 완전수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유클리드는 메르센 소수 하나에 완전수 하나가 대응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메르센소수가 무한한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완전수가 무한한지도 아직 알 수 없다. 홀수인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아라비아 위치적 십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는 이 수 체계가 생긴 지역이다. 고대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인더스 문명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500년경에 위치에 따라 숫자의 값이 결정되는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4와 24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리가 비었음을 나타낼 수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