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대"(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인식표’를 받은 이름 없는 국군 전사자의 유해 약 3900구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날을 고대하며 잠들어 있다. “기초과학 튼튼해야 유해발굴 성과 높아” “0.01% 가능성만 있어도 끝까지 도전합니다. 최후 실종자 한 사람까지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저희의 임무입니다.” 5월 14일 오후 ...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수 있다. 고추가 한국에 들어온 시기가 임진왜란(1592년) 이후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식품문화연구의 최고봉이었던 이성우 전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1978년, 고추가 일본에서 담배와 함께 전파됐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곧 통설로 굳어졌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고추는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360°로 나타낸다. 한 바퀴를 100°로 할 수도 있었을 텐데 왜 360°가 됐을까? 그 이유는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의 방법을 지금도 그대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바빌로니아 사람들은 태양이 1년 동안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길인 ‘황도’를 꾸준히 관찰했다. 당시 바빌로니아에서는 1년을 12달 360일로 나눈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정수를 말한다. 예를들어, 6을 제외한 양의 약수 1, 2, 3을 더하면 6이 되므로 6은 완전수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유클리드는 메르센 소수 하나에 완전수 하나가 대응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메르센소수가 무한한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완전수가 무한한지도 아직 알 수 없다. 홀수인 ...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보면 어떨까요? 박은주 대표님의 추천도서 51. 어린이를 위한 책의 역사어린이 눈높이로, 고대의 진흙판 책에서부터 미래의 전자책까지 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책.책의 제작 방법, 발전 과정은 물론이고, 책에 관해 궁금한 모든것이 담겨 있어요.2. 피타고라스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아라비아 위치적 십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는 이 수 체계가 생긴 지역이다. 고대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인더스 문명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500년경에 위치에 따라 숫자의 값이 결정되는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4와 24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리가 비었음을 나타낼 수 ...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높이 사 신약의 일부를 주노라.”사제는 신약의 일부로 마을의 질병을 고칠 수 있었다.고대 그리스 사람들도 정육면체에 대해 알고 있었어요. 정육면체는 속이 차 있는 정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도형이에요. 즉 면이 6개인 도형이지요. 반대로 속이 비어 있는 사각형, 막대로 만든 정사각형기둥은 ...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급하시지.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미노타우로스가 갇혀 있었던 미로는 고대 미로로 길만 잘 따라가면 중앙에 도달해요. 그런데 사람들은 미로의 모양을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의심해요. 즉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것을 반복하다 결국 길을 잃고 말죠. 전 제가 ...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그 어떤 복잡한 미로도 그래프를 이용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 고대 미로는 한붓그리기라는 말이 앞에서도 나왔지요? 한붓그리기를 누가 연구했는지 아십니까? 바로 저랍니다. 하하~.누구나 한 번쯤 복잡한 전시관에서 길을 잃은 기억이 있을 겁니다. 이 작품 아까 봤던 건데! ... ...
- 밀레니엄 문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문제로, 이를 증명하면 공업이나 상업, 컴퓨터의 미래는 크게 바뀔 것이다.2. 리만 가설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소수가 끝없이 계속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리고 1859년 독일의 수학자 리만은 소수가 어떤 규칙에 따라 배열돼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만약 소수의 규칙을 발견한다면 수에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