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일을 벗은 소련의 군항도시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
과학동아
l
198811
대제만이다. 이 만은 '자라이트로그'(金角灣·Golden horn)라고도 한다. 터키의 이스탄불과
지형
이 비슷하다하여 같은 이름을 붙였다는 해석이 있다.자라이트로그는 가로 5km 세로 2km 정도의 거의 장방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큰편은 아니다. 항만의 입구는 동남동쪽에 하나가 있을뿐으로 이곳을 ... ...
호랑이
과학동아
l
198810
나라 자연부락 이름에 호(虎)자가 들어 있는 곳이 상당히 많다. 이들 호랑이 마을은 대개
지형
이 호랑이를 닮았거나 호랑이가 자주 출몰했던 곳이다. 또 호랑이의 덕을 입었거나 아니면 재난을 당했던 전설을 갖고 있다.이처럼 많은 이야기를 남긴 호랑이를 이제는 볼 수가 없으니 애석한 일이다. ... ...
전북학생과학관
과학동아
l
198810
50여종의 각종 암석들이 진열돼 있어 주성분과 산지 용도 등을 알아볼 수 있게 했다. '산악
지형
의 윤회' 코너에서는 유년기의 산이 장년기의 산, 노년기의 산, 준평원의 순서로 변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재현시켜 주고 있어 관심을 끈다.이곳 역시 다른 과학관과 마찬가지로 갖가지 과학진흥사업을 ... ...
울릉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809
마지막날 해안탐사에서는 통구미의 해안절벽에 자생하는 향나무와 울릉도
지형
지질 탐사의 표본이 되고 있는 공암 등 화산섬 일대를 돌아봤다.참가교사들 대부분은 특산식물 중 상당수가 명맥을 유지하지 못하고 멸종해 가는데 아쉬움을 느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도동지역이 자생지인 ... ...
가르치는 사람, 현장 경험 많아야
과학동아
l
198809
충실히 하려면 지도교수 수를 늘리고 각 분과별 운영을 해야될 것 같습니다.김득 울릉도
지형
지질을 연구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인 공암 등 해안지역 탐사로 그친 것이 매우 유감입니다. 이중화산으로 불리는 나리·알봉분지를 시간을 갖고 충분히 탐사하지 못한 것도 아쉽습니다. 다만 평소에 ... ...
국방과학에 활용되는 전문가 시스팀 리얼타임! 작전명령!
과학동아
l
198808
가지고 있다. 작전계획의 첫부분이랄 수 있는, 상황중에서도 전문가를 대신하여
지형
분석을 해주는 시스팀, 적전투서열(EOB)이나 각종 수집원으로 부터 입수된 첨보를 처리하여 획득된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적상황을 판단해 주는 시스팀, 아군의 가용 전투력을 고려한 실시란의 내용 등을 정해주는 ... ...
우주의 사연을 담은 편지 운석(隕石)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198807
운석이 낙하하여 지표면에 커다란 웅덩이를 만들어 놓는다. 마치 화산의 화구 모양의
지형
을 이루는데 이것을 운석 크레이터(Crater) 또는 운석공이라고 부르고 있다. 운석 크레이터는 세계에서 30개소 이상이 알려져 있다. 그중 미국 아리조나주의 '캐년다이블로'운석 크레이터가 유명하다.거대한 ... ...
등대의 모든 것을 한눈에 영일만의 장기갑 등대박물관
과학동아
l
198807
대보리까지 가면 된다. 이곳은 등대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지형
상 특수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영일만과 그 돌출지점의 끝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
군(軍)에 봉사하는 컴퓨터과학 인공지능의 앞날에 어두운 그림자가 …
과학동아
l
198806
고도에서 거의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나르면서, 미사일의 '시각'은 내장된 지도와 실제
지형
을 비교하고 연결시키기 위해 매우 정확해야만 한다.그러나 이것이 크루즈 미사일에 내장된 컴퓨터가 의미하는 전부는 아니다. 아마 사람들은 이 지도, 예를들면 소련의 지도가 어떻게 얻어졌는지 궁금해 할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06
세계 항공 우주 시장의 주요 수출국으로 진입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지형
조건에 맞는 한국형 전투기를 우리나라 기술진에 의하여 직접 설계 제작할 날도 멀지 않다고 본다.●―협동력이 뛰어난 사람을 요구항공우주공학자는 비행체 시스팀에 대한 근본적인 설계는 물론 신뢰성과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