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부
바깥면
표면
외면
겉
바깥
d라이브러리
"
바깥쪽
"(으)로 총 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스크바
과학동아
l
198903
소비에트연방과 러시아공화국의 수도 모스크바. 이 도시를 처음 이룬 것은 지금도 모스크바 동북쪽 1백50km지점에 남아있는 오래된 도시 브라디미르와 수즈달리를 근거로 살았던 수즈달리공 ‘유리 돌고르키’(Jurij Dolgorukie)였다. 12세기초에 수즈달리공이 모스크바 강과 네그린나야 강이 합류하는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02
비록 얼음 바다에 불과하지만, 북극의 자원 군사 과학적 중요성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만년빙의 대륙 남극과 같이 얼음과 매서운 추위, 그리고 거의 6개월만에 낮과 밤이 교대되는 적막의 나라. 이런 것들이 북극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북극과 남극은 극지방으로서 갖는 비슷한 ... ...
기구(氣球)여행 -더블이글호(후편)
과학동아
l
198902
더블이글Ⅰ호의 실패이후 '맥스'와 '벤'은 자신들의 실패를 되씹어 보며 다소 의기소침해 있었다. 맥스는 그 시점에서 달리 방도가 없었음에도 불시착 결정을 내린 것을 후회하였고, 벤은 그들이 실수하여 2천피트의 고도에 도달한 것에 고민했다.패인을 분석하며 자신의 사업을 남에게 맡긴채 다음 ...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02
弧)를 몇개 그린 것으로 생각하면 쉽다. 가장 안쪽의 반원호 안이 구시가이고 가장
바깥쪽
의 반원호는 마르기트다리와 페테피다리를 잇고 있다. 방사선으로 뻗은 도로는 반원호를 가로지르고 있다. 북쪽으로부터 바츠이로(路) 공화국로 라코치로 바로슈로 우츠로이로 등의 순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01
껍질에 붙은 살을 얇게 베어내 속살만을 횟감으로 쓴다. 얇게 베어낸 한점한점을 접시의
바깥쪽
에서 가지런히 놓아 들어간다. 그 모양은 마치 큰 국화송이가 펼쳐져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먹을때는 중심부에서 꽃잎을 한잎 한잎 떼어내듯 집어낸다.복요리는 이밖에 살을 찐 수육, 얼큰한 양념과 함께 ... ...
상대성이론의 모든것
과학동아
l
198812
뿐만 아니라 회전으로 인해 그 원도 돌고 있다. 그런데 사건의 지평면(event horizon)보다
바깥쪽
에 정지 한계면(static limit)이 있게 된다.힘의 영역 블랙홀에 한번 잡혔다하면 물체는 빨려들어가게 된다. 단 사건의 지평면 안에서 그렇다는 얘기다. 사건의 지평면 밖에서는 물체의 탈출이 가능하다. 특히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11
한때 유전공학의 존폐론까지 비화되었던 생물적 위험(biohazard). 특히 유전자 재조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생물체는 인간에게 공포의 대상이 될수 있다.머지않은 장래 인류는 반도체와 유전공학이라는 두가지 신기술에 의해 그들의 삶의 질이 결정되어 질지도 모른다. 반도체 기술이 인간의 삶 ... ...
한쪽으로 늘어진 위성
과학동아
l
198811
1986년 1월. 천왕성 근접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보이저 2호는 거대한 행성들 가운데 네번째이고 가장 멀리 떨어진 해왕성을 향해 항진하고 있다. 이것은 1989년 8월에 해왕성에 도착할 것이고 만약 그렇다면, 이것은 그 행성뿐만 아니라 그 행성의 두 개의 위성들까지도 탐사할 것이다.태양으로부 ... ...
첨단건축, 어디까지 왔나 「수직도시」초고층빌딩의 기술세계
과학동아
l
198811
건축술의 발달은 2백층 이상의 초고층빌딩도 가능케 하고 있다. 어떤 기술이 필요한 것일까.우리나라 최초의 초고층건물인 여의도 대한생명 63빌딩이 완공되어 그 위용과 여러 위락 시설을 공개한지도 3년, 그뒤 럭키금성 쌍동이빌딩의 완공에 이어 최근에는 한국무역센터, 잠실 롯데월드 등 대형의 ... ...
곤충을 먹이로 하는 식충식물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09
포충낭의 측벽은 순간적으로 부풀게 된다. 물은 들어온지 25~30분이 지나면 안쪽에서
바깥쪽
으로만 빠져 나갈 수 있는 배출구를 통하여 나간다. 이같은 배출작용이 일어나면 포충낭은 완전히 수축되고 포획된 먹이들은 질식되어 죽게 된다.통발의 먹이는 물벼룩 종류인 요각류, 지각류 같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