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이하
아래
이후
이래
그늘
배후
d라이브러리
"
나중
"(으)로 총 1,338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
과학동아
l
200111
메커니즘워스트3의 선정은 베스트3에 비하면 비교적 쉬운 편이다. 우선 수상 업적이
나중
에 틀린 것으로 판명된 경우가 있다. 1926년 수상자인 피비거(Johannes Fibiger, 1867-1928)는 쥐에서 기생충인 스파이롭테라(spiroptera)가 위암을 일으킨다는 실험적 연구로 노벨상을 받았다. 그런데 후에 이런 사실이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
과학동아
l
200111
신경안정제로, 그 중 D-형에만 약효가 있고, L-형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사실이
나중
에 밝혀졌다. 하지만 이 약이 시판될 당시에는 이 화합물의 입체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L-/D-혼합물로 판매된 결과, 입덧 치료를 위해 복용했던 임산부들이 팔다리가 없는 기형아를 출산해야 했다. 이런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10
읽다가 천문학 책에 더 재미를 느꼈다고 밝혔다. 책을 빨리 읽는 속독에 능하다는 얘기도
나중
에 전해 듣게 됐다. 인터뷰에서 그는 영국의 흐린 날씨 때문에 어렸을 때 별을 보지 못했던 것이 안타까웠다는 말도 덧붙였다.이번 학회의 주제인 블랙홀 분야에 대해 몇가지를 질문했다. 보이지 않는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10
검사해 XYY 염색체를 가진 아이들을 색출하려는 시도가 미 동부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나중
에 XYY염색체를 가진 사람들이 지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은 있으나 비정상적인 폭력성향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XYY염색체를 가진 사람들이 더 폭력적이라는 ...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09
털옷을 뒤집어 쓴 채 등장할지도 모른다. 과연 그런 벨로시랩터가 무서울지는
나중
일이다. 티라노사우루스 역시 새끼 때는 솜털이 달려 있다가 어른으로 자라면 털이 빠진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제 1·2·3편에 등장한 공룡에 싫증이 난 영화팬들의 입맛을 맞추려면 슬슬 새로운 공룡이 ... ...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09
야경증과 마찬가지로 3·4 단계 수면에서 생기는데 50%는 집밖으로 나가기도 한다.
나중
에 기억하지 못하고 완전히 깨지 않은 상태에서 행동을 취하기 때문에 자신이나 타인이 다칠 염려가 크다.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고 발달과정 중에 정상적인 각성 메커니즘의 장애가 생겨 일어나는 현상으로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08
자외선 차단막을 코팅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따라서 선글라스를 산 후
나중
에 자외선이 차단됐는지 확인해봐야 별 소용이 없다.일부 안경점에서는 자외선을 100% 차단하려면 진한 렌즈를 골라야 한다고 권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옳은 생각이 아니다. 오히려 더 자외선을 ... ...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 미수
과학동아
l
200108
처음에는 오빠가 해가 되고 누이동생이 달이됐는데, 누이동생이 밤을 무서워해서
나중
에 오빠가 달이 되고 누이동생이 해가 됐다. 그런데 이번에는 해가 된 누이동생이 부끄러움을 타서 사람들이 바로 쳐다보지 못하도록 밝은 빛을 내쏘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눈이 부셔서 해를 바로 쳐다볼 수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07
수백만배 더 큰 블랙홀이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이‘조용히’제기됐다. 물론 이 주장은
나중
에 사실로 밝혀졌고, 오늘날에는 별의 시체로서의 블랙홀보다 거대한 블랙홀이 오히려 더 각광을 받게 됐다.어쨌든 1960년대의 천문학자들은 일단 별의 시체로서의 블랙홀을 찾기에 주력했다. 블랙홀은 이름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07
‘2단계 학습 이론’이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개에게 먹이를 주면서 종을 치면
나중
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리게 된다는 실험)으로 잘 알려진 고전적인 조건반사형성 외에 ‘조작적 조건형성’이 있다.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 스키너는 비둘기를 상자 안에 가두어두고 흥미로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