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801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로켓이 맵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단축하는 ‘패스트트랙’ 조건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형 위성을 주로 다루던
기존
의 메이저 발사체들도 소형 위성 발사에 대비하고 나섰다. 각각 2019년과 2020년 발사 예정인 아리안스페이스의 차세대 발사체 베가-C와 아리안6,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발사체(SLS) 블록1, 블록1B 등이 ... ...
수직이착륙과 고속비행 가능한 ‘복합형 드론’이 대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기존
엔 한 가지 기능만 충족… 활용도 높아 사회 곳곳서 응용 한국항공우주연구원도 개발중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 중인 ‘쿼드틸트프롭 무인기’. 프로펠러의 방향을 바꿔 수직으로 뜨고 내리면서도 빠른 속도로 장시간 비행할 수 있다. -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제공 ... ...
초고해상도 나노픽셀로 고효율 OLE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연구진은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 픽셀을 이용해 최적의 구조로 설계해 고휘도에서
기존
보다 2~3배 높은 효율을 가진 OLED를 생산했다. OLED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일 때 에너지를 가진 준입자인 엑시톤이 생성된다. 이 엑시톤의 30~40%가 다시 전자와 충돌할 때 빛을 내지 못하고 자신의 에너지를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토성에 더 다가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그동안 토성의 고리는 물과 얼음이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 같은
기존
학설과 배치되는 결과가 나온 셈이다. D고리에는 유기물이 37%로 가장 많았고 물(24%)과 메탄(13∼19%),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이 뒤를 이었다. 이로써 토성 고리는 혜성 충돌에 의해 생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 ...
2022년까지 91조…노벨상이 인정한 '면역항암제' 국내서도 R&D치열
2018.10.06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시료를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신 교수 역시 “면역항암제와
기존
항암제를 조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구 역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한 천체가 외계 위성으로 확증되면 행성계 형성에 대한
기존
이론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중요 사안으로 판단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천체의 크기는 모행성인 케플러-1625b의 1.5% 정도다. 이는 지구와 달의 질량비와 유사하지만 달은 암석으로 이뤄져 있고 지구에서 떨어져 ... ...
“토성 고리에 물보다 유기물이 더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이는 화성 고리가 주로 얼음 성분으로 이뤄져 있다는
기존
학설과 배치되는 것이다. 토성 고리는 가장 안쪽의 D고리부터 1000만 km 떨어진 가장 바깥쪽의 포에베 고리까지 총 9개가 있다. 1997년 10월 발사된 카시니호에는 물질 구성과 분포를 측정하는 ‘이온 및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광다이오드 소자를 개발해 올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의 광다이오드 소자는 광자(光子)가 가진 고유 진동수와 공명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만 작동하는 한계가 있었다. 송 교수는 “광학 집게 덕분에 광자를 잡고 내부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으로 광자의 진동수를 ... ...
AI 음성인식 센서 "누구 목소리인지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찾아내는 화자(話者) 인식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97.5%의 화자인식 성공률을 보였다.
기존
기술보다 오류를 75% 가량 줄였다. 연구진은 지금보다 인식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업체와 논의를 통해 실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 교수는 “말하는 사람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 ...
박용근 교수 세계적 학술지에 "홀로그래피 현미경 활용방법" 리뷰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방법에 대해 해설했다. 세포와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보통 현미경을 사용하는데,
기존
현미경 기술은 투명한 세포를 직접 관찰하기 어려워 염색이나 조작을 해야만 세포를 볼 수 있었다. 박 교수는 홀로그래피 현미경이 세포에서 빛이 굴절되는 정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현미경으로 ... ...
이전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