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뉴스
"
기준
"(으)로 총 8,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있는데 꽤 흥미롭다. 즉 우리가 발을 내디딜 때 보통 15도 정도 기울어져(θ=15°, 수직선
기준
) 힘이 가해진다고 한다. 따라서 수직성분의 힘은 Fcosθ, 수평성분(진행방향)의 힘은 Fsinθ이다. 따라서 마찰력(마찰계수×Fcosθ)이 수평성분의 힘보다 커야 미끄러지지 않는다. 마찰계수가 0.066일 때 각도의 ... ...
국내 연구진, 남태평양 바다에서 신종 미생물 2종 찾아냈다
2014.09.25
중에서는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속(Genus)이란 생물분류학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
으로 ‘종(Species)'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연구진은 두 미생물에 ‘오츠로버가 패시피카(Ochrovirga pacifica)’와 ‘알지버가 패시피카(Algivirga pacifica)’라고 이름 붙였다. 이 미생물들을 실험실에서 관찰한 ... ...
이번 주말엔 ‘토성 품은 달’ 관측하세요~!
2014.09.24
하늘을 살펴보면 희미한 달을 볼 수 있다. 달을 찾은 뒤에는 낮 12시 전에 지평선을
기준
으로 달의 아래 부분에서 토성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는 망원경을 이용해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천문연은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 28일 낮 12시 ‘토성-달 엄폐 천문현상 관측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때문에 어차피 남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필자 같은 사람으로서는 최신 데이터를
기준
으로 글을 써야 할 것이다. 혹시나 해서 필자의 글을 검색해보니 심지어 ‘현생인류와 가장 가깝다는 네안데르탈인조차 2만4000년 전에 멸종했는데’라는 문구도 있다(하필 에세이집에도 실린 글인데 뭘 보고 ... ...
“과학기술 사업화 수익의 40%는 연구자의 몫”
2014.09.21
원사)을 선정할 때 연구성과가 실제로 응용됐을 때 얼마나 가치가 있느냐를 중요한
기준
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특허와 지식재산권을 존중해 사업화를 통해 얻은 수익의 40% 정도를 연구자의 몫으로 돌린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과학기술인이 사업화를 추진하는 데 큰 동기로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이 정보를 우리 위성 궤도와 비교해 3일 뒤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 이때
기준
은 1000분의 1이다. 충돌 확률을 계산했을 때 1000분의 1보다 큰 값이 나오면 위성의 회피기동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이날은 위성을 예의 주시하며 충돌 확률을 주기적으로 계산한다. 둘째 날부터는 미국, 독일 ... ...
'토성을 품은 달'…오는 28일 토성 엄폐현상 일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9.16
이용해 관측할 수 있다. 토성 엄폐현상은 오전 11시 59분 전까지 천체망원경을 달(서울
기준
방위/고도: +129°13′19″/+19°26′13″)에 맞춘 후 달의 중심부 하단을 관측하면 된다. 토성이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은 오후 1시 7분 달의 우측 중앙에서 관측 가능하다. 한편,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는 ... ...
구름에서 물 모아~ 모아~ 모아~ 식수로
2014.09.15
러시아 기술진은 비행선에 달린 그물을 이용해 구름에서 물을 모아 지상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 Air HES 제공 구름에서 물 ... 모으고 있다. 1만4052달러를 목표로 진행 중인 모금은 26일 마감을 앞두고 2916달러(15일
기준
)가 모였다. 러시아 기술진이 개발한 Air-HES 모식도. - Air HES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높아지고 사물을 보고 약 0.3초 뒤 그 기억과 관련된 뇌파가 발생한다”며 “실험
기준
만 잘 만든다면 감동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일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와정은 이번 주 연구원에서 열린 전시회 ‘아티언스 오픈 랩’에서 뇌파의 무늬를 이용한 ‘456개의 채널’을 선보였다. ‘45 ... ...
진짜 보름달은 한가위 다음날에 뜬다
2014.09.01
거리가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이다.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도는데, 9일 자정
기준
으로 달과 지구의 거리는 35만9066km에 불과하다.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인 38만km보다 약 2만5000km 가까운 셈이다. 다른 지역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astro.kasi.re.kr)에서 확인할 수 ... ...
이전
828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