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백신을 맞아서 항체가 이미 있더라도 빠르게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없다. 예컨대, 2002년에 유행했던 A형 독감 바이러스는 H3N2의 변종인 파나마주였다. 그런데 다음 해에 푸젠성주가 나타나 질병을 일으켰다. 바이러스 아형이 H3N2로 같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어 ...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과제를 보여주면서 학생들에게 생생한 학과생활의 모습을 전달하기도 했다. 정신여고 2학년 최연수 학생은 “건축공학과에 가고 싶은데 무엇을 하는 곳인지 잘 몰라 막막했다”며 “전공 설명회를 통해 건축학과뿐만 아니라 다른 학과도 자세히 알게 돼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고 말했다.빡빡한 ... ...
- 비만? 설탕 잘못만은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발표한 성인의 1일 평균 음식섭취열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섭취열량이 1970년에 2039kcal에서 2010년 2544kcal로 500kcal가 늘어 비만 인구 증가의 원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곡물과 지방을 포함한 음식물 섭취량이 크게 늘었고, 설탕 섭취에 의한 열량은 거의 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은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근처를 지나며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냈다.분석 결과 러브조이 혜성에서는 총 21종류의 분자가 발견됐다. 그 ... ...
- 떼인 핵물질 찾아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핵물질을 도난당하거나 분실한 사건도 최근 11년 새 714건이나 일어났다. 핵물질 밀거래의 주요 고객은 테러조직이다. 이들은 핵물질을 넣은 폭탄을 터뜨려 도시 전체에 핵물질을 퍼뜨리려는 위험천만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국제 핵감식 전문가그룹(ITWG)도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발견하다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헤이커 카메를링 오네스는 1908년, 끓는점이 4.2K에 불과한 헬륨을 액체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어떤 물체를 액화시킬 수 있다는 말은, 대기압에서 그 물질의 끓는점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다는 뜻이다. 예컨대, 대기압에서 보통 기체로 존재하는 질소에 높은 압력을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몇 년 전 ‘먹거리 X파일’이라는 방송이 크게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요리에 MSG를 쓰는 식당은 나쁜 식당, MSG를 쓰지 않는 식당은 착한 식당이라고 불렀지요. 당시 MSG 안 쓰기 운동이 대단해서 군대에서도 안 쓰겠다, 학교에서도 안 쓰겠다는 선언이 많이 나왔습니다. 요즘 방송에서는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랜싯 역시 가설로 분류해 출판했다.프리드 교수의 가설에 과학적 근거가 마련된 것은 2006년이다. 미국 프린스턴대 수잔 피스케 교수팀은, 사람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대할 때 뇌의 특정 회로를 불활성화시켜 이들과 사회적 교감을 피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프린스턴대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했다. 도입 초기부터 큰 역할을 기대하지 말고 길게 보자는 말이다. 미국은 1960년대 후반부터 옴부즈퍼슨 제도를 도입해 현재 대학과 연구기관의 핵심부서로 자리 잡았다.옴부즈퍼슨이란 이름을 쓰진 않지만, 서울대 인권센터도 올해 7월 중재자 제도를 대학에 권고했다. 단과대학별로 교수 1~2명, ... ...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크리스마스를 열렬히 반긴다. 영국 워릭대자연과학부 무네히로 애설리 교수가 작년 12월에 만든 작품. 먼저 30℃의 배지에 14시간 동안 고초균을 배양했다. 금속으로 2mm 크기 글자를 만든 뒤, 그 위에 생물막이 자라도록 유도했다. 글자 모양으로 완전히 자라는 데 12시간이 더 필요했다 ... ...
이전8278288298308318328338348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