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급
제의
지급
조달
보급
신입
제안
뉴스
"
제공
"(으)로 총 48,033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오염수 핵종 2배 빨리 측정…국내 연구진, 해수 전처리 장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과 김현철 교수. 가운데는 김 석사과정생이 자체 개발한 방사능측정장비 ‘SALT-100’. UST
제공
.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으로 인접 국가인 우리나라가 해양방사능 감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방사능 측정 속도를 2배 높인 대용량 해수 전처리 장비를 개발했다. ... ...
2025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에 정선주 단국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단국대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제공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2025년도 학회장으로 정선주 단국대 대학원 생명융합학과 교수를 선출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선출된 정 교수는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의 역대 두 번째 여성 회장이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1989년 창립돼 올해 3 ... ...
약물 내성 극복하는 ‘항암치료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UNIST 화학과 교수(왼쪽)와 곽상규 고려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UNIST
제공
. 질병을 치료하려면 약물을 투여했을 때 약효과가 나타나야 하지만 약물 내성이 있으면 병원체가 약물에 저항해 살아남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못하는 순간 세포가 터지고 내부의 파지가 흩어지는 용균 과정이 일어난다. 사이언스
제공
● 파지 용균 메커니즘 규명 책을 읽다가 얼마 전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파지 연구가 떠올랐다. 대장균을 숙주로 삼는 파지의 하나인 Φ(파이)X174의 용균 메커니즘을 분자 차원에서 밝힌 결과다. ΦX174는 ... ...
[사이언스 게시판] ETRI, 드론데이터 실시간 전송·분석 가능한 DNA+드론 플랫폼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연구를 진행중이다. 또 공중 지향 안테나로 드론 비행 고도에 최적화된 통신 품질을
제공
해 드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업링크(통신 회선) 용량을 최대로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드론의 실시간 서비스 개발 및 검증을 위한 시스템과 설비(테스트베드)를 충청남도 금강 지역에 구축해 본격적인 실시간 ... ...
아시아 강타한 기록적 무더위…"경제 취약계층 고통"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무더위로 서울의 한 도로에서 지열이 끓어오르고 있다. JV_LJ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올 여름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폭염에 시름하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 인구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아시아의 경제적 취약계층이 고초를 겪고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전 세계 인구 79억 명 중 46억 명이 사는 아시아 ... ...
"다른 물고기 뒤에 숨어 사냥하는 물고기 확인"
연합뉴스
l
2023.08.08
연합뉴스
제공
카리브해에 사는 한 육식성 물고기가 주변 물고기들의 경계를 받지 않는 초식성 물고기에 바짝 붙어 헤엄치는 방식으로 몸을 숨기고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샘 마쳇 박사팀은 8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산호초 ... ...
"6개월 모유 수유, 산후 심혈관 문제 발생 위험↓"
연합뉴스
l
2023.08.08
연합뉴스
제공
6개월 이상 아기에게 모유를 먹인 여성은 출산 후 적어도 3년 동안은 심혈관 건강이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애들레이드(Adelaide) 대학 의대 로빈슨 연구소(RRI)의 심장 전문의 말레사 파티라나 교수 연구팀이 모유 수유 여성 160명을 대상으로 출산 3년 후까지 진행한 연구 ... ...
"2억5천만년 전 고래처럼 먹이 걸러 잡아먹는 파충류 살았다"
연합뉴스
l
2023.08.08
연합뉴스
제공
2억5천만년 전 트라이아스기에 현대의 고래처럼 많은 양의 물을 빨아들이면서 새우 같은 작은 먹이를 걸러내 잡아먹는 '여과섭식'(filter feeding)을 하는 해양 파충류가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우한 지질연구센터 청룽 박사와 영국 브리스톨대 마이클 벤턴 교수팀은 8일 ... ...
태양전지 효율 높일 새 '준이차원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실린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리티얼즈' . 한국연구재단
제공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 ...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광희 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김희주 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 한국연구재단 ... ...
이전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