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스페셜
"
빛
"(으)로 총 91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드인터뷰 단위이야기 [제9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012 헤르츠(Hz)인 초록색
빛
을 기준으로 특정각도(1스테라디안)에 들어오는 1/683 와트(W)의
빛
을 말하는데, 칸델라(cd) 단위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문가의 자세한 설명을 들어본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
KOITA
l
2014.12.08
시대를 앞서간 발명왕 브라마는 수세식 변기로 유명해졌지만 정작 그의 재능이
빛
을 발한 것은 ‘브라마 자물쇠’였다. 그의 자물쇠는 견고하고 복잡하기 이를 데 없어 열쇠가 없이는 절대로 열리지 않는 자물쇠로 알려졌다. 자신의 자물쇠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던 브라마는 실제로 열쇠 없이 ... ...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KOITA
l
2014.12.01
제습기를 구매해 아주 잘 쓰고 있다는 사용후기도 눈에 띈다. 이들은 제습기가
빛
을 발하는 곳을 잘 알고 있는 소비자다. 사람이 살지 않는 눅눅한 창고, 겨울에도 습한 지하, 혹은 옷장에서는 제 값을 톡톡히 한다. 특히 빨래가 덜 말라 퀴퀴한 냄새가 나는 게 싫다면 제습기가 제격이다. 빨래를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조심스럽게 예측하면서도 아마도 9,800만 년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태양이
빛
을 발할 수 있는 기간인 동시에 지구상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시간은 최대한 2,500만 년이라고 제시했다. 톰슨이 당대의 워낙 유명한 과학자였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다윈에게 치명상을 안겨주었다. 사실 2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훗날 최소한 수십 개의 별에서 나온
빛
이 합쳐진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이 가운데는 태양 질량의 150~300배인 별이 포함돼 있다는 주장도 여전히 있다. 또 다른 유명한 예는 용골자리 에타(η Carinae)로 태양계에서 7500~8000광년 떨어진 ... ...
자기조립 나노물질로 항암치료 신기원 연다
IBS
l
2014.11.13
화학적 타기팅인 것에 비해 자성 나노입자에 의한 것은 물리적 타기팅이다. 김 교수팀은
빛
에 의해 크기가 조절되고 항암제가 방출되게 하는 연구성과에 대해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그룹리더로서 자기조립을 통해 구현한 독특할 물질을 생명공학, 생의학, 의약학에 응용하는 것이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베지그 소장은 특정 파장의
빛
을 쪼이면 밝게
빛
나는 형광 단백질을 이용해 미세한
빛
을 여러 번 찍고 그 이미지를 합쳐서 세포 내부의 분자들을 선명한 영상으로 재구성했다. 헬 소장은 세포에 레이저를 쪼여서 형광을 발생시키고 도넛 모양의 레이저를 다시 쏴서 주변부의 형광을 억제하는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조합돼(또는 다른 파장
빛
의 조합으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얘기했지만 청색
빛
은 일주리듬이나 멜라토닌 합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스몰렌스키 교수는 서평에서 학계 연구자뿐 아니라 정책입안자들도 책을 읽어볼 것을 권하고 있다. 우리나라 보건당국자나 정책입안자들도 이 책을 ... ...
시력교정술, 제대로 알자
KISTI
l
2014.10.16
삽입은 1950년대에 스페인 안과의사 바레큐어에 의해 진행됐다. 이후 라식과 라섹에 밀려
빛
을 보지 못했지만 최근 다양한 재질의 개발되고 수술법이 발전되면서 다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홍채 미란이나 각막내피세포의 감소 및 백내장 등의 문제들은 장기적인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이식할 수도 있으며 신경세포 손상으로 운동기능을 상실한 환자들의 근육에 이식하면
빛
자극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뇌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들에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시각화'다.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는 길을 찾거나 가게를 세우기에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