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6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18%인 28개는 35억~11억 년 전 생겨난 '고대 유전자'로 12개는 박테리아와 아케아 같은 원핵
생물
에도 해당 유전자가 존재한다. 나머지 18%는 11억~5억5000만 년 전 등장한 '중세 유전자'다. 사람 옥시토신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154개 유전자의 등장 시기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20개 계통층서(phylostrata. PS)에 ... ...
여성도 사냥했다?… 고고학 통념 뒤집기
과학동아
l
2024.05.15
여성은 사냥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2023년 6월 카라 월 셰플러 미국 시애틀패시픽대
생물
학과 교수팀은 전 세계 인류학 데이터베이스인 'D-PLACE'를 활용해 전 세계 391개 수렵채집 사회의 자료를 모아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 (doi:10.1371/journal.pone.0287101) 391개 사회 중 사냥에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탄소C그널 순회전시'…인천국제공항공사와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연구뿐만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국내 야생
생물
에서 유래한 유용 소재의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혜영 센터장은 "최근 바이오 분야에 대한 세계 각국의 투자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교류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산·연간 협력의 지평을 ... ...
수온 30도에도 살아남는 물고기, 개체 수도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5.11
것으로 추정되지만 펍피시가 어쩌다 사막의 웅덩이에 왔는지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생물
학자들은 2007년부터 펍피시에게 사료를 보충해 주는 등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그 결과 개체 수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개체 수 증가는 펍피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 ...
동아사이언스-국립해양
생물
자원관, 해양환경 보호 교육 위한 업무협약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동아사이언스(대표 장경애)와 국립해양
생물
자원관(관장 최완현)은 해양
생물
및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육 등을 목적으로 5월 10일(금)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 교육하는 등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립해양
생물
자원관 전경. ... ...
"사회적 차별 받으면 빨리 늙는다"
2024.05.10
위해서 취하는 행동들과도 일부 관련 있다"며 "하지만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요인과
생물
학적 노화를 연결하는 다양한 과정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는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고 건강 형평성을 증진하기 위해 모든 형태의 차별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 ...
인사하는 코끼리, 상대가 보지 않으면 소리 내고 '툭' 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적절히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젤라 스토거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행동 및 인지
생물
학과 연구원팀은 코끼리가 발성과 몸짓을 결합해 서로 인사하며 인사 대상의 시각적 주의 여부에 따라 의도적으로 의사소통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영화 '혹성탈출' 유인원 실제 능력은…학습하고 상처도 치료하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기술을 연마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 결과를 7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
학(PLOS Biology)'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코트디부아르 타이 국립공원에서 수년에 걸쳐 수집한 비디오 기록을 통해 다양한 연령대의 야생 침팬지 70마리가 막대기를 사용해 먹이를 찾는 모습을 관찰했다. 어린 ... ...
쌀알 반만 한 뇌 조각으로 만든 고해상도 '3D 뇌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알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프 리히트만 미국 하버드대 분자 및 세포
생물
학과 교수팀은 미국 구글 연구팀과 협력을 통해 인간 대뇌 피질의 작은 조각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고 고해상도 이미지로 재구성했다. 뇌 조각의 3차원 구조를 포함한 연구결과는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앞당기는 '데이터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데이터 용량은 수십 기가바이트(GB)에 달한다. 방대한 데이터 중
생물
학적으로 유용한 신호는 3% 내외에 불과하다. 유용한 신호를 골라내기 위해 그간 여러 데이터 처리 도구가 개발됐지만 기존 도구는 사용자가 직접 유용한 신호와 잡신호(노이즈)의 경계선을 직접 설정해야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