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뉴스
"
분해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중등 공교육에서 AI 인재 양성 기초 수업 시작해야"
연합뉴스
l
2021.07.12
제안서에서 "AI 융합 교육의 가장 큰 걸림돌은 복잡한 문제를 단순한 문제로
분해
하고 추상화한 후 컴퓨터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생각하는 능력인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의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과기한림원은 "대부분의 학생이 기본적 알고리즘 개념과 코딩 ... ...
인체에 넣는 의료기기 수명 늘리는 코팅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개발한 코팅이 적용된 신경탐침의
분해
도와 코팅 적용 과정에 관한 모식도. KIST 제공. 파킨슨병 등 뇌질환 치료를 위한 뇌심부 자극기는 인체에 삽입해 사용한다. 인체에 삽입되면 주변 생체조직에 면역반응을 유도하면서 기기 성능 저하로 이어져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미 연구팀 "산모 코로나 백신 맞아도 모유에 아무런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않는 아주 적은 양의 mRNA 성분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유아의 위장관 시스템에 의해
분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세계보건기구(WHO)가 내리고 있는 백신 접종지침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WHO는 모유 수유자에게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백신을 맞고 난 ... ...
국내 연구팀,렘데시비르보다 200배 효과 좋은 코로나 치료제 후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약물 스크리닝 기술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와 증식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와 RNA 중합효소를 저해할 수 있는 후보 화합물을 각각 15종과 23종 골라냈다. 그런 다음 이 후보군들을 대상으로 파스퇴르연 생물안전 3등급(BSL-3) 실험실에서 세포 이미지 기반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분해
경로의 생리학적 의미를 더 깊게 탐구하겠다” 며 “ 지금까지 밝혀낸 단백질
분해
신호들을 활용해 새로운 형태와 내용의 차세대 혁신 신약들을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 ▼포스텍 단백질항상성 연구소 보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 ...
"mRNA 코로나 백신, 모유에 들어가지 않는다"
연합뉴스
l
2021.07.07
아주 적은 양의 mRNA가 남아 있더라도 이 유전물질은 신생아의 위장관 시스템에 의해
분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따라서 백신을 맞은 여성은 아기에게 모유 먹이는 것을 망설일 이유가 없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미국 산부인과학회(American Colleg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와 소아과학회 ... ...
‘2021 기술경영인상’ CTO 부문에 김명환 LG에너지 대표·김영근 LS일렉트릭 전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관련 분야 기술발전에 기여했다. 박병서 일신웰스 대표는 친환경 가소제의 다각화 및 생
분해
성 기술 개발 등 식품 및 산업용 소재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산기협 기술경영인상 연구소장 부문을 수상한 김정년 LS전선 연구소장과 김민수 티엠바이오 연구소장, 이상욱 한화솔루션 연구소장(왼쪽부터). ... ...
표적 부위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
과학동아
l
2021.07.06
전자 배선을 만들고, 그 위를 PDLLA로 코팅했다. PDLLA은 열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분해
되며 인체에 해가 없는 소재다. 이후 핀셋으로 전자 배선을 포함한 PDLLA 층을 벗겨내 사람 피부에 유연하게 구부러져 부착되고 전류가 흐르도록 했다. 개의 간 조직에 장치를 심어 기능을 실험해 본 결과 1분 동안 ... ...
형형색색 화려하지만 치명적인 미세플라스틱...한반도 연근해 서서히 잠식 중
2021.07.05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임운혁 해양과기원 남해연구소장은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이
분해
돼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원을 찾기 쉽지 않아 규제하기도 어렵다”며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규제 정책을 만들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플라스틱 쓰레기 지구에 영구적 흔적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통상 1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5mm의 플라스틱을 일컫는다. 마모되거나 태양광
분해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지며 생성된다. 낚시줄이나 스티로폼 부표, 페트병, 섬유 등에서 모두 만들어진다. 얼굴에 발라 문지르다가 물로 씻어내는 클렌징이나 스크럽 제품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해양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