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3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방식, 당뇨병-알츠하이머 유발 과정 생쥐 실험서 확인"
연합뉴스
l
2024.03.25
고지방 식단이 염증 조절 단백질 발현을 억제, 장에서 간을 거쳐 뇌로 이어지는 염증
반응
을 초래하면서 당뇨병과 알츠하이머 유사 증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칼리지 스테이션 소재 텍사스 A&M대 나렌드라 쿠마르 교수팀은 23~26일 샌안토니오에서 열리는 미국 생화학 및 ... ...
"같은 암이라도 다른 약 써야"…암환자 약물
반응
예측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왼족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현주 교수, 김주연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원.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암환자의 약 ...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향후 개인 맞춤 치료를 위한 정확한 약물
반응
예측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화합물 설계·특성 예측 '한번에' 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만족하는 분자 구조를 생성하는 과제에서 높은 정확도로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또 화학
반응
예측 및 독성 예측과 같은 다양한 문제에도 기존의 인공지능 기술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신약 후보 물질 탐색과 독성 예측 등 다양한 생화학적 영역에 적용될 수 있을 것 ... ...
우리집 강아지, 눈치 아닌 '단어'로 의미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뇌의 패턴을 측정했다. Grzegorz Eliasiewicz 제공 '밥 먹자' '산책 가자' '앉아' 등은 반려견의
반응
이 바로 나오는 말이다. 반복된 주인의 언행에 눈치를 빠르게 알아차리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 개는 단어를 들었을 때 단어의 의미를 떠올린다는 신경학적인 증거가 발견됐다. 마리안나 보로스 ... ...
돼지 신장 사람 이식 성공…이종이식 임상 가능성 '솔솔'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정상적인 색인 분홍색을 회복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장기 거부
반응
의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 앞서 뇌사자에게 돼지 신장을 이식한 사례는 있지만 살아 있는 사람에게 이식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번 수술은 미국 식품의약청(FDA) 특별 승인하에 이뤄졌다. ' 네이처는 이번 ... ...
영유아는 꽃향기, 청소년은 쾨쾨한 냄새 나는 이유
2024.03.22
기름진 물질인 땀과 피지가 피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공기 중 다른 화합물과
반응
할 때 주로 발생한다. 청소년의 체취에서는 카복실산이라는 화합물 수치가 영유아의 체취에서보다 더 높았다. 카복실산은 곰팡이, 치즈 등 쾨쾨한 냄새가 나는 물질에 포함돼있다. 피지에는 카복실산이 ... ...
'악' 소리나는 과일 가격...지구온난화로 식량가격 더 상승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3.22
것이다. 코츠 박사후연구원은 “세계 경제는 기후 변화 및 극한의 날씨에 민감하게
반응
한다“며 “온실가스 배출을 완화하고 녹색기술 기반으로 대응해나간다면 물가를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어른에게 더 치명적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걸린 경험이 적기 때문에 방관자 T세포를 갖고 있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과잉면역
반응
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증상이 덜 나타난다. 면역질환 치료의 새 패러다임이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신 센터장의 발견 이후 방관자 T세포의 기작이 원형탈모, 지카바이러스 등 더 심각한 ... ...
'면역 백과사전' 만든다…"인간이 앓았던 질병 전부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있다"고 설명했다. 만약 건강검진에서 혈액의 T세포를 채취해 종양이나 장기이식의 거부
반응
에 관여하는 특정 T세포 그룹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면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먼 미래에는 약 1000명의 면역 기억 데이터를 모으는 게 프로젝트의 목표다. 신 센터장은 "아직 프로젝트를 시작한지 ... ...
돼지 간 이식받은 뇌사자, 10일째 간 기능 작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막기 위해 진행한 작업이다. 돼지 간을 이식받은 뇌사자는 현재까지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간에서 담즙이 생성되고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지난 몇 년간 사람에게 돼지의 심장과 신장이 이식된 사례들은 있었지만 간이 이식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