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기반
근본
근거
밑바탕
베이직
뉴스
"
기본
"(으)로 총 3,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민의힘 “文 탈원전 인사 김제남 이사장 사퇴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위원장은 라돈 침대 폐기물 처리와 관련 “천연 방사성폐기물 처리 첫 사례이기 때문에
기본
적으로 어떻게 시행할지에 대한 세부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라돈 침대 사태는 2018년 5월 대진침대가 판매한 침대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며 시작됐다.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누리호 기술 이전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중”이라며 “우주 산업 현장의 의견을 적극 청취하여 연말에 수립될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
계획에 효과적 우주산업 지원책이 마련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역사가 담긴 글꼴…기술과 함께 서체도 발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오랜 기간 세로쓰기를 해오다 광복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가로쓰기가 도입됐다.
기본
적으로 세로쓰기용 글꼴은 글자 하나를 정사각형 안에 넣는 네모꼴 글꼴이었다. 받침이 있는 글자와 없는 글자의 크기가 달라 자음과 모음 28자 조합으로 1만1172자를 각각 따로 만들어야 했다. 가로쓰기가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① "용어에는 실마리가 있어야 한다"
2022.10.05
교수(경희의과학연구원장)는 “구연산이라는 용어는 생명공학 분야
기본
단어임에도 잘 와 닿지 않는다”며 “레몬산이라고 하면 접근이 훨씬 쉬워진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용어 순화 작업을 하는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용어위원회에 참여해보니 국내 용어들이 일본 용어를 그대로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붕괴 현상을 관측하는 실험실이다. 중성미자는 표준모형에서 물질을 구성하는 12개
기본
입자 중 하나로 현재까지 3종류가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4번째 중성미자가 존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중성미자의 정확한 질량은 확인되지 않았다. 질량 등 중성미자의 특성을 알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만든 인공세포가 꽤 복잡한 구조를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단백질 합성과 대사 활동 같은
기본
적인 세포 기능을 수행한다는 건 상당한 진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대장균이 들어갔을 때 인공세포가 공 모양에서 아메바 같은 형태로 바뀌는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걸 비롯해 연구자들이 만든 ... ...
네트워크 기술 적용해 SSD 성능 대폭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제어 정보를 추가한 데이터 전송의
기본
단위로 컴퓨터 네트워크 기반 정보 기술에서 활용된다. 최근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다양한 계산 자원들을 칩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SSD는 ... ...
[프리미엄 리포트]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 발견
2022.09.24
중성자는 핵물리학에 큰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원자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다. 원자는 핵과 전자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뤄진다. 양전하를 가진 양성자와 전기적으로 중성인 중성자다. 사람의 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고 느낄 수도 없는 작은 ... ...
'알파폴드' 딥마인드 과학자에 '과학계 오스카상'...한국인 수상자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 수치선형 대수학 등을 포함해 컴퓨터 과학과 수학에 쓰이는
기본
이론들에 대해 획기적 공헌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박진영 미국 스탠포드대 수학과 교수는 신진 여성 수학자 상인 ‘마리암 미르자카니 뉴프론티어상’을 받았다. 최근 2년 이내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여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세포를 활성화시켜 신호를 뇌로 전달해 우리는 맛을 느끼게 된다. 2000년대 들어
기본
맛 다섯 가지에 대한 수용체 유전자가 밝혀졌는데, 사람의 경우 쓴맛수용체 유전자가 25개나 된다. 단맛수용체와 감칠맛수용체 유전자가 각각 두 개(그나마 하나는 겹침)인 것에 비하면 꽤 많다. 우리 몸에 독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