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장"(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성과를 어필하고, 연구실의 애로사항을 가감 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현장 평가에서 BSC 위원들이 토론을 거쳐 점수를 투표해 도출한 평균값이 2차 평가 결과다. 이후 전체 BSC검토를 거쳐 4개월 뒤 연구실에 점수를 포함한 정성평가 결과가 통보된다. 이의 신청 기간은 한 달이다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리 밑에 모인 250명의 아이들‘다리 밑 학교’는 인도 델리, 야무나뱅크 지하철역 아래에 있는 비공식 학교예요. 2005년, 교장인 ‘락스미 찬드라’가 빈민가 나무 아래에 아이들 몇 명을 모아 힌디어, 영어, 수학을 가르치면서 시작됐지요. 자전거 뒤에 묶인 수레에 사람을 싣고 달리는 릭샤꾼과 쓰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983년 빛의 속도 값을 고정해 미터의 정의를 바꾼 이후 가장 큰 변화다. 물론 실제로 연구 현장에서 실험을 하는 과학자들조차 거의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느껴서도 안 된다. 이미 나온 연구 결과나 진행 중인 연구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작지만 큰 변화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달 과정 같은 이론적인 이야기는 물론이고, 일본을 비롯해 전세계 주요 게놈 편집 연구 현장을 직접 방문한 이야기가 빼곡히 담겨 있다. 취재팀은 인터뷰한 과학자의 말투와 행동을 묘사하며 이 기술을 이용해 틀림없이 환자들을 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느껴졌다고 밝힌다. 또, 과학자들을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박지윤 씨(심리학과 3학년)의 사회로 진행 중이었다. ‘뉴러너’ 40여 명의 열띤 토론 현장에 들어가 봤다. 뉴런은 뇌과학에 관심이 있는 고려대 재학생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동아리다. 뇌와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탐구한다. 뇌 신경세포인 ‘뉴런(neuron)’과 한국어 발음이 비슷하면서도 ... ...
- 통계 법정 사건의 재구성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용의자를 특정했습니다. 그 주인공은 맬컴 콜린스와 재닛 콜린스. 재닛의 직장이 사건 현장 근처였고, 사건 시간쯤 남편인 맬컴이 노란색 차에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브룩스와 바스 모두 맬컴과 재닛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또 체포 당시 맬컴은 콧수염이 없었고, 사건 당일 재닛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딸기 도둑 ‘ 스트로 베리머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일어날 정도로 딸기를 좋아하는 썰렁홈즈. 싱싱한 딸기를 사기 위해 아침 일찍 딸기 축제 현장으로 향했다. 달콤한 딸기가 가득 있을 거란 기대를 품고 입구로 들어서는데…. 그런데 이게 웬일? 딸기는 몽땅 사라지고 없고, 딸기 농장 주인들은 대성통곡을 하고 있는 게 아닌가! 텅 빈 딸기 상자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하듯 움직이는 ‘밀당 로봇’”이라며 “외부 힘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만큼 산업현장에 도입하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 자연스럽게 걷는 휴머노이드 개발이 로봇을 활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운동법을 쉽게 개발할 수 있다. 현재 헬스클럽에 설치된 운동 기구는 근육을 ... ...
- [Career] ‘한국의 젊은 노벨’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직접 시연하면서 심사위원들과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전 대회 수상자들도 스무명 넘게 현장에 참석해 멘토로서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했다. 2박3일의 대미를 장식한 시상식에서 참가자들은 모두 상장과 소정의 장학금을 받았다. 특히 대상 팀에게는 4000만 원, 금상을 받은 두 팀에게는 각각 2000만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적용해 나만의 수업으로 재탄생시켜야 진정한 전문성을 갖추게 됩니다.” 수학교육 현장지원단 연구책임자였던 이경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수학 교육이 앞으로도 꾸준히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이 관객처럼 수학을 지켜만 보는 것이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