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통해 “사진을 보면 명왕성과 카론이 실제로 매우 다양한 물질로 이뤄진 복잡한
행성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명왕성 각 지역의 표면 성분들을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➌ 크기 비교명왕성과 카론의 크기를 지구와 비교해 표현한 그래픽. 뉴호라이즌 호가 이번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리를 에워싸는 수억 광년 우주의 구조와 만났다.2주간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다시
행성
지구에 돌아왔다.저 구름 너머의 하늘에 펼쳐져 있는 아름다운 우주의 풍경은 마음 깊은 곳에 생생하게 남았다.지구에 누워 우주의 역사를 읽다망원경에서 눈을 떼고 바닥에 누워 하늘을 바라봤다. 밤사이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높은 것이다.생명체가 살 수 있는 지구형
행성
이 실제로 많이 있다고 해도 아직은 외계
행성
까지 가긴 어렵다. 하지만 수세기 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은 더욱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가 ‘제2의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초지능이 나온다 한들, 좁은 지구에서 인간과 아웅다웅할 이유가 없다그들은 더 좋은
행성
을 찾아 지구를 떠날 것이다 게다가 현재로서는 두뇌를 모방할 컴퓨터 칩도 없다. 이승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사회연구실장은 “2013년 구글이 유튜브에 있는 고양이 얼굴을 구분하는 데 중앙처리장치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kimbssss@hot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김지현_voyages@hanmail.net과학동아 별학교장. 우주과학작가로 활동하며 ‘별헤는 밤 천문우주실험실’ ‘별 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 등의 책을 썼다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더 정확한 방법으로 번개가 칠 횟수를 예상했다. 데이빗 롬프 버클리캘리포니아대 지구및
행성
과학과 교수팀은 미국 곳곳에서 기상 관측장비를 실은 풍선을 하늘에 띄워 대류의 유효위치에너지를 측정했다. 이 에너지와 강수량을 이용하면 번개가 칠 횟수를 예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공식을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2 번개는 생명을 낳고 먹여 살린다생명체가 태어나기 전, 지구의 대기는 불안정했다. 소
행성
이 수없이 많이 부딪쳤고, 번개도 많이 쳤다. 원시지구의 대기와 바다에는 메탄과 암모니아 같은 물질이 가득했다. 과학자들은 번개가 자주 치면서 이런 물질이 단백질이 됐다고 추측한다.이뿐만이 아니다.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허블우주망원경보다 15배나 선명한 사진을 통해 130억 광년 너머의 초기 우주와 외계
행성
을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요. 우리나라의 최대 망원경은?우리나라에 있는 가장 큰 망원경은 보현산 천문대의 주경 1.8m 크기의 반사망원경이다. 우리나라에는 이보다 큰 망원경을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7년 간 복잡한 여정을 거쳐 2011년 우주선 가운데 처음으로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태양계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수성은 크기가 가장 작고 궤도가 극단적인 타원 형태를 띠고 있어 진입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밤낮으로 온도가 600℃씩 오르내리는 극한 환경이다.메신저호는 이런 어려움을 ... ...
빛으로 하는 우주 항해, ‘라이트세일(LightSail)’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유명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공동창립한 미국의 비영리단체 ‘
행성
협회(The Planetary Society)’가 태양풍을 추력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5월 20일 시험비행에 나설 예정이다.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