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명
해설
해명
풀이
번역
통역
분석
d라이브러리
"
해석
"(으)로 총 2,469건 검색되었습니다.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empathize and a shaky sense of identity.”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의 페이스북 사이트]
해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당신의 뇌를 크게 만들까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두뇌의 크기가 싸이월드나 페이스북같은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활동정도를 결정하는지도 모른다. 과학자들은 사회적인 사람일수록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있는 드라마가 있다.‘뿌리깊은나무’가 그 주인공이다. 세종대왕의 업적과 성품을 재
해석
한 이 드라마는, 소설을 바탕으로 한 탄탄한 구성이 돋보인다. 이 드라마의 인기 원인에는 청년‘세종’이 있다. 물론 그 역할을 맡은 배우 송중기의 꽃미남 효과도 한몫 단단히 했지만, 그를 통해 만날 수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프랑스 파리지구물리학연구소(IPGP)의 빈센 꾸띠요 박사는 생물 대멸종의 원인을 새롭게
해석
해 주목을 받았다. 우리는 6500만 년 전 백악기말 공룡의 멸종이 커다란 혜성의 충돌 때문이라는 학설에 영향을 받아 흔히 소행성이나 혜성의 충돌로 생물 대멸종이 일어났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꾸띠요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올라가는 입자를 관측할 때, 이 입자는 반입자로 보인다고
해석
했다. 그렇다면 입자와 반입자가 부딪쳐서 사라지는 것은 입자가 진행 방향을 바꿔 과거로 되돌아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입자와 반입자가 언제나 쌍으로 생기는 것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입자가 시간의 방향을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변연계가 아니라 1차 감각을 담당하는 영역에 대한 연구라는 사실도 지나친 ‘확대
해석
’을 경계하게 한다.논문은 “앞으로 자극이 ‘에로틱한 것’일 때와 단순한 것일 때 뇌의 감각령이 각각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할 계획”이라는 말로 끝나고 있다. 비아그라가 많은 부부를 행복하게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경쟁사회에서 자라서 불안과 스트레스에 의한 타인에 대한 적대감이 표출됐다”고
해석
했다. 동영상 속 남자는 이기적이고 공경의식이 부족한 우리네 젊은이들의 안타까운 자화상이었다.방화, 화재…거침없는 어르신들하지만 이런 공격성이나 배려 없는 행동이 젊은 사람에만 국한된다고 할 수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The research was published in Molecular Psychiatry and led by Dr. Feng of the University of Warwick in England.
해석
우울증에 의한 자기혐오 증가 사람들은 흔히 사랑과 증오 사이에 매우 얇은 경계만이 존재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극한의 사랑과 강렬한 증오가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영향을 미쳐 현재 우주도 매 순간 무수히 많은 우주로 갈라지고 있다는 ‘다우주
해석
’을 낳기도 했다.응용 분야 가운데 가장 큰 난제는 양자중력이론과 양자장 이론이다. 이강영 건국대 물리학과 연구교수는 “강한상호작용을 계산하고자 할 때 양자역학적 효과가 너무 커서 제대로 계산하기가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애벌레부터지난 9개월 동안 애벌레를 분류하고 생존 전략을 탐구하면서 애벌레에 대한
해석
과 족보를 어느 정도 이해했다. 생태계의 교두보인 애벌레는 생태계를 이해하는데 대단히 매력적이며 유용한 이상적 재료이다. 하지만 1년 내내 뚜렷한 모양을 하고 있는 나무나 새와는 달리 눈에 잘 띄지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약간 흐린 날이었기 때문에 같은 시각 평균 밝기보다 어두울 것이라 생각하고 결과를
해석
했습니다. 조작변인 이외에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의견도 나눴습니다. 특히 조도 센서는 측정 방향에 따라 값이 변하기 때문에 센서 2개를 수직으로 세워서 측정하고 평균값을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