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마그마가 식으면서 형성되는 광물로, 지르콘에 들어있는 우라늄-납 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하면 암석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데칸 화산활동은 백악기에서 고제3기로 넘어가는 경계 전후로 총 네 차례에 걸쳐 대규모로 일어났고, 각각의 대폭발은 10만 년 이내의 기간 동안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0mm, 850mm인 수조에 넣고 음파가 메타물질 구조를 지날 때 전파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측정했다. 그 결과 초음파가 원래는 곡면파로 나와야 하는데, 신기하게도 메타물질 구조 끝단의 모양과 평행한 파동의 형태로 빠져나왔다. 끝단의 형태를 바꾸면 음파가 한 곳에 모이게 할 수도, 넓게 퍼져 ...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도 처음부터 과학기술 정책에 뜨거운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 자동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들어와,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위해 애쓰던 한 명의 여성 과학자였다. “계기는 우연히 찾아왔습니다. 주변 여성 과학자들과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를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1925년에 거의 완성됐어요. 20세기 물리학자인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는 사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전에 사물이 특정한 상태에 있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어요. 반면 아인슈타인과 슈뢰딩거는 이들의 생각 방식에 크게 반대하며 방사성 원자가 붕괴 또는 안정 상태에 있다고 주장했지요. 그래서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자란다는 점을 훈련을 통해 배우긴 했지만, 그가 아니었다면 임무에 포함되지 않은 신장 측정은 생각지도 못했을 것이다. 우주인으로 버티게 해준 ‘긍정의 힘’ 유머와 여유를 잃지 않는 긍정의 힘은 그가 우주인이 될 수 있었던, 그리고 우주인으로 버틸 수 있었던 비결이 아닐까 감히 생각해 ... ...
- 전지훈련. 선수 맞춤식 데이터로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불리는 장비를 설치했다. 이 장치는 추적 기술 시스템의 일종으로 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건이 굉장히 진화한 장비다. 구속 외에 공의 회전수, 회전축, 위치까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SK뿐 아니라 삼성 라이온즈와 키움 히어로즈, NC 다이노스 등도 첨단 장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 ...
- [GO! GO! 고고학자] 테르모필레 전투의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분야를 알아야 해요. 땅을 파고 들어가야 하니 지질학이 필요하고, 찾은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려면 화학도 알아야 하죠. 뼈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면 생물학 지식도 있어야 해요. 고고학은 융합 학문인 셈이에요. 그러면 앞서 소개했던 테르모필레 전투가 어디서 일어났는지 고고학자들은 어떻게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방식 외에도 뇌파,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 동공 크기 확인 등 신체 반응을 측정해 이뤄진다. 거짓말 탐지의 목적이나 질문 방식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이용하면 거짓말 판별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거짓말 탐지의 목적은 크게 ‘진단’과 ‘스크린’으로 나뉜다. 진단은 주로 범죄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자신이 예측한 원소 중 하나인 ‘에카알루미늄’이 바로 갈륨이라며, 부아보드랑의 측정값 일부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후 재논의를 거치면서 멘델레예프의 지적이 옳았음이 증명됐고, 부아보드랑은 자신의 계산이 틀렸음을 인정했다. 이후 1886년 독일의 화학자 클레멘스 빙클러가 ... ...
- [쇼킹 사이언스] 외계인의 흔적일까?! 깊은 숲 속 미스터리 서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규슈산림관리국 연구팀은 주기적으로 숲을 관찰하며, 나무의 키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측정했어요. 그 결과 처음엔 모두 키가 비슷했지만, 현재 가장 안쪽 나무와 바깥쪽 나무의 키는 5.3m 만큼 차이가 나요. 나무 사이의 간격이 좁은 안쪽 나무가 훨씬 덜 자란 거예요. 실험은 2024년까지 계속될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