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공"(으)로 총 4,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눈결정은 어떻게 수없이 다양한 모습으로 피어날 수 있는 걸까? 언제나 그랬듯이 자연은 우리에게 쉽게 답을 알려주지 않는다. 겨울이 만들어낸 걸작, 눈결정의 비밀에 다가서 보자. 앞서 살펴본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눈결정은 다양한 모양으로 자라난다. 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모습이 되는 걸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장 유명한 일곱 명의 지진 전문가들이 “부정확하고 불완전하며 모순되는 정보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구속됐다. Separately, a reporter had an interview with the deputy director of the Civil Protection Department, who said: “The scientific commu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장기 연구 전문기업인 휴먼하이테크는 크리오러스와 2017년 11월 9일 한국 내 서비스 제공 계약을 체결하고, ‘크리오러스 코리아(KrioRus KOREA)’를 출범시켰다. 한국에도 냉동인간 서비스가 상륙했다. 『신체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모든 활동이 멈추는온도가 영하 196도다. 극한 저온 환경에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외에도 각 지역 교육청 같은 외부 기관의 의뢰를 받아 캠프를 진행하거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도 한다. 교육뿐 아니라 연구에도 힘쓴다KAIST 입학생의 10% 정도는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을 거친 경험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학생교육만 담당하고 있는 건 아니다. 영재 교육을 질적으로 높이기 ...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미국에서는 식당 주인들이 손님을 끌기 위해 술을 마시는 사람들에게 공짜로 점심을 제공했습니다. 처음에는 공짜 점심이라는 말에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들었지요. 그런데 식당에서 점심으로 내놓는다는 것이 목이 메는 퍽퍽한 음식이나 짜디짠 음식이었지요. 목마른 음식을 먹고 갈증 나서 마실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등 전문 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들이 고국에 돌아와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2008년 시작된 ‘천인계획(千人計劃)’ 역시 석학들을 중국으로 유인한 대표 정책이다. 천인계획에 선발된 연구자는 중국으로 귀국한 뒤 계약을 맺으면 일시불로 최대 100만 위안(약 1억 6385만 원)을 ... ...
- [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선수와 수비수 사이의 거리, 이동 속도, 패스 궤적 등이 표시돼 시청자에게 볼거리도 제공한다. 2016년부터는 훈련에 한해 선수의 심장박동 수와 탈수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패치도 장착할 수 있게 했다. 선수의 운동량과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코치진이 선수들의 체력과 컨디션을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화려함은 점차 바래왔다. 형형색색 빛나던 바다 숲이 색을 잃었다. 산호에 에너지를 제공하던 플랑크톤이 수온 변화로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산호의 골격이 드러나는 백화(白化)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플랑크톤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후변화가 지목된다. 18개국의 해양생물학자가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오리 159만 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다행히 1월 20일 현재 구제역은 발생하지 않았다. 둘 다 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어서 백신은 한계가 있다. 예방이나 치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