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리"(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치에서 어떤 연산 이 일어나는지 대략적으로 알고 있으면 비밀키를 알아내는 데 유리하다. 칩 설계도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 게 아니라면 적당한 위치를 찾기 위해 매번 칩을 부수 고 또 부숴야 한다.결함 분석을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사례는 암구호처 럼 다수가 하나의 비밀키를 공유할 때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인듐주석산화물(ITO)이라는 재료로 만든 기존 투명 전극은 유리처럼 쉽게 깨져 피부에 붙일 수 없었다. 연구팀은 그래핀과 금속섬유라는 완전히 새로운 두 재료를 결합해 문제를 해결했다. 벌집 모양의 그래핀 사이사이에 길게 늘인 금속 섬유를 연결한 것. 이렇게 만든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와그작!”이 소리는 누군가 단무지를 씹어 먹는 소리…가 아닌 안전유리가 깨지는 소리다. 보통 유리는 ‘와장창’하고 수천 조각으로 흩어지지만, 안전유리는 얌전히 깨 ... 생명을 지켜주고 있다. 앞으로 또 다른 모습으로 우리의 건강을 지켜줄 안전유리, 강화유리를 기대해 본다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가스방식보다 에너지가 덜 든다. 물이 공기보다 밀도가 훨씬 커서 압력을 가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액체에 더 가까운 초임계 이산화탄소 역시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대신 가스방식은 초고온 상태를 유지해 불리함을 극복하는데, 초임계 이산화탄소 역시 이 장점을 따라 할 수 있다. 증기보다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지내는 것이 가족을 만들고, 맹수로부터 몸을 지키는 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연애 초반의 뜨거운 사랑은 우리의 판단을 마비시킵니다. 저는 미국 아이다호주립대 심리학과 샤오밍 쑤 교수와 이제 막 사랑에 빠진 중국인 남녀 18명의 뇌를 스캔했습니다. 40개월이 지난 후 다시 ...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유리문 앞에 섰다. ‘용문지하상가’라는 글씨가 문에 들어왔다. 삼촌이 조심스레 유리문을 열었다. ‘휘이잉’ 하는 바람 소리와 함께 지하상가의 온기가 느껴졌다.“자…, 여기서 이쪽으로.” 지하상가에 들어가서도 삼촌의 방까지는 한참이나 걸어가야 했다. 스쳐 지나며 힐끗 본 게 다였지만, ... ...
- 웰컴 투 얼음왕국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해마다 색다른 나만의 인테리어자, 여기가 친구들이 얼음왕국에서 지낼 방이야. 마치 유리로 지은 성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친구들이 예상하는 대로 모두 얼음이야. 이 주변에 있는 강물이 꽁꽁 얼어붙으면 얼음을 네모반듯하게 잘라 꺼낸 다음, 벽돌처럼 쌓아서 건물을 짓지. 건물을 짓는 데 약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저는 이전에 양자역학과 핵물리학을 연구한 경험이 있어 다른 사람들보다 조금은 유리했을 겁니다.”┗ 그러고 보니 선생님은 미국의 수소 폭탄 프로젝트에도 관여하셨습니다.“네, 저는 핵무기에 대해서 다른 물리학자들과 생각이 다릅니다. 원자폭탄을 더 일찍 만들어서 전쟁이 더 일찍 ...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콩코드의 오명을 씻고 다시 날 수 있을까.콩고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힌 것은 유리창을 깰 정도로 엄청난 소리와 충격파, 즉 소닉붐이었다.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이 소닉붐을 없애는 연구에 매달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항공기 제작사 노스롭 그루먼, 보잉, 그리고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 ...
- [과학뉴스] 전령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과정에 아데닌 꼬리 외에 유리딘 꼬리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번 연구에서 유리딘 꼬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효소를 발견했다. 이로써 김 교수팀은 전령RNA의 분해과정을 상세히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는 “전령RNA가 분해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된 만큼 유전자 연구에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