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스테리
d라이브러리
"
신비로움
"(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일본의 과학잡지 '과학아사히'에서는 창간 50주년 기념 특별기획으로 '현대과학 7대불가사의'를 다루었다. 그 내용은 △우주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태양계형성과 관련된 열번째 행성은 존재하는가 △생명의 탄생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어느정조 기능이 나누어진 생물체는 어떻게 출현했는가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다윈과 마젤란을 사로잡았던 파타고니아는 빙하와 고봉이 어우러져 태고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우리에게는 너무나도 멀게만 느껴지는 남미대륙. 그 남미대륙에서도 남위 39°이남의 지역을 사람들은 파타고니아(Patagonia)라고 부른다. 면적이 한반도의 약4배(80만㎢)에 이르는 이 지역은 태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우주선과 잠수정은 모양과 원리가 비슷하다. 그러나 엄청난 수압이 건재하고 태양빛과 태양에너지를 이용할 수 없는 등 해저의 환경은 우주보다 훨씬 열악하다.해저는 옛날부터 인간이 도달할 수 없는 비경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공위성이 날고 있는 현대에도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컴퓨터언어는 기계가 이해하기 쉬운 기계어에서 점차 인간이 사용하기 편리한 고급언어로 발전해왔다.바벨탑은 왜 무너졌을까. 그것은 A급 태풍이나 강력한 지진에 의해서가 아니었다. 탑을 건설하고자 하는 인간들이 혼란스런 언어때문에 서로 의사소통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언어의 혼란이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극도의 건강과민증을 갖고 있는 현대인은 누구나 한두가지씩 건강식을 하고 있다. 이것을 소홀히 하면 정말 건강을 잃게 될까?사람은 누구나 오래 살고 건강하기를 원한다. 그렇다면 과연 건강이란 무엇인가. 건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정의가 있지만 아직도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혹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형윤회가 지질시대에 수없이 반복됐음을 지구역사는 말해준다" - 동일과정설의 입장문 밖에 나서면 흙이나 암석이 널려있는 자연이 눈에 들어온다.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각종 초목들, 그들 사이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각종 동물들, 산의 계곡이나 절벽, 강 바닥에 흘어져 있는 모래와 자갈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늘 다수파의 횡포와 편견에 시달려 왔던 인구의 5~10%를 차지하는 왼손잡이의 실제 모습은?서양에서는 모나리자를 그린 화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왼손잡이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H.W. 잰슨 같은 예술사가는 다 빈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비성은 그가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인간이 달에 첫발을 내디딘지 22년. 그러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달여행 제2막인 '달기지 건설'을 앞두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간추려본다.60년대와 70년대 우주개발의 모든 목표는 달이었다. 즉 달은 광활한 우주를 향한 인간의 꿈을 펼친 첫 관문이었던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1969년 7월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식(蝕)이 있을 때 달 분화구가 가려지거나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고배율로서 관측하면
신비로움
까지 느낄 수 있다.달은 백도를 따라 이동하며 사람들의 관측방향에서 많은 천체들과 식을 일으키거나 랑데부를 하기도 한다. 특히 행성들이 태양과 가까이 보이는 위치일 경우 해가 지고난 저녁 서쪽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텔레파시 투시력 예지력 염력 심령능력 등으로 구분되는 인간의 초능력. 이에 대한 과학적 접근은 과연 가능할까?초능력이 학문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부터다. 물론 그 이전에도 초능력을 목격했다거나 직접 경험한 사람들이 있었지만 살아있는 뇌에 대한 연구가 어렵고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