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인터뷰 전국 여중생 수학탐구 발표대회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형태로 나타낸다. 연립방정식 하나는 알파벳 하나를 나타내므로 연립방정식의 수와 같은
수의
알파벳으로 이뤄진 단어를 뜻한다.먼저 각각의 연립방정식을 풀어 x와 y를 구한다. 그리고 방금 구한 x와 y의 최소공배수를 구한다. 이 때 구한 최소공배수는 a로 시작하는 알파벳의 몇 번째 글자인지를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시간에 따라 홍역으로 죽은 사람 수를 구할 수 있어. 감염된 사람의 집단 I에서 사망자
수의
값을 얻어 그래프를 그린 결과가 오른쪽처럼 나왔어. 신기하게도 ●는 실제 홍역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 수를, ○는 SIR모델로 얻은 사람 수인데 두 분포가 거의 비슷한 걸 볼 수 있어. 풍토병? 전염병? 세계적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PHAs의 합성에 관한 연구’ 등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김명환 이사장은 “이공계 교
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논문 수준이 높다”며 “다만 논문을 심사할 때 학생이 연구 내용을 잘 모를 경우는 통과시키지 않는다”고 말했다.현재 전국에서 R&E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팀은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않는다. 우리 삶에도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이 있듯이 수학도 마찬가지다. 두
수의
뺄셈에서 빼는 순서를 바꾸면 결과가 달라지지만 덧셈에서 더하는 순서를 바꿔도 결과는 같다. 나누기에서는 두 수를 나누는 순서를 바꾸면 결과가 달라지지만 곱하기는 순서를 바꿔도 결과는 똑같다.[2 + 3 = 3 +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렇지 않은 젖소보다 더 많은 우유를 생산해낸다는 사실을 입증한 연구에 돌아간
수의
학상도 한 번 웃고 지나가기에는 진지한 철학적 물음을 담고 있다. 영국 뉴캐슬대 피터로린손 교수팀이 지난 3월 ‘앤스로주즈(anthrozoos)’라는 저널에 낸 논문에 나오는 내용으로 논문의 제목은 ‘목장에서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피보나치 수열을 찾을 수 있다. 피보나치 수열이란 1.1.2.3.5.8.13…처럼 마지막 두
수의
합을 계속 써 나감으로써 생기는 수열이다. 다시 피아노 건반을 보자. 피아노 건반은 하얀 건반과 검은 건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1과 1로 잡는다. 검은 건반은 두 집합으로 뭉쳐 있는데 각각에 속한 검은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등도 설명돼 있다. 이 책은 1621년 라틴어로 번역됐다.음수 곱하기 음수는 양수‘두 음
수의
곱은 양수다’는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일상생활과 수학적 개념을 연관짓다 보면 종종 모순적인 결론에 이른다. 이를 테면, 음수를 처음 발견한 당시 ‘-500×-500=2500을 500원의 빚과 500원의 빚의 곱은 250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찾는 식이다.숫자를 읽을 때도 마찬가지다. 사전을 찾을 수 있다면 큰 수도 읽을 수 있고,
수의
순서와 크고 작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24개의 자음과 모음의 조합을 이용해 국어사전에서 단어를 찾는 일에 비하면 고작 10개의 숫자로 이뤄진 수를 이해하는 게 훨씬 쉽지 않을까?이것만 할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이므로 2차 택시수다.수와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까?어떤
수의
각 자리의 수를 두 번 곱해 더해 나갈 때 결국 1이 되는 수를 해피넘버(happy number)라고 한다. 예를 들면, 19는 해피넘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1×1+9×9=82 ↓8×8+2×2=68 ↓6×6+8×8=100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가 사고를 결정할까언어의 최적 단위는 어휘 또는 단어다. 따라서 언어에 따 른 어휘
수의
차이가 언어 결정론에 대한 논쟁을 증 명하는 수단으로 종종 쓰인다. 예를 들어 필리핀의 농부는 쌀에 대한 어휘가 수십 개에 이르며, 아랍의 목동은 낙타에 관한 어휘 가 수십 개이며, 우리말에도 비에 대한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