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d라이브러리
"
생태계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소의 주식인 ‘자주개자리’라는 식물도 꿀벌이 번식을 돕는다. 결국 꿀벌의 떼죽음은
생태계
의 균형이 깨지는 신호탄이다. 그 피해는 인간이 식량을 얻지 못하는 큰 재앙으로 닥칠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곤충 없인 못 살아! 지금은 곤충시대PART1. 곤충을 아시나요?PART2. 지금은 ... ...
상어도 ‘목욕탕’ 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오히려 주기적으로 목욕탕에 찾아왔지요. 하지만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과학자들이
생태계
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우리 상어 목욕탕을 보호하는 방법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만들어 전체 육상
생태계
를 부양하듯이, 식물플랑크톤은 수중
생태계
를 부양한다. 식물플랑크톤이 없었다면 물속은 죽음의 세계가 되었을 것이다. [어떤 조류가 우점종이냐에 따라 물 빛깔이 달라진다. 뉴질랜드의 한 염전 주변의 수로는 홍조류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Aquifer Recharge Technology)다.J-ART는 고지대 하천에서 돌발적으로 물이 넘치는 일이 생겼을 때
생태계
나 자연 현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하천의 물을 일부 지하수로 전환한다. 부유물을 없애는 것과 같은 간단한 정수 처리를 거친 뒤 관을 통해 지하수 불포화대에 주입하는 것이다. 지하수는 ... ...
Intro. 벌의 죽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수가 3분의 1씩 줄어들고 있다. 어떤 일이 벌어졌으며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
생태계
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지 ‘초개체’, ‘밀집사육’, 그리고 ‘단백질과 RNA’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의 죽음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Part 2. 꿀벌에게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꿀벌은 사람이 주는 먹이와 인공
생태계
(과수농장이나 채소밭)에 의존하는 생활 때문에
생태계
규모의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착시 가능성은 없나CCD 현상으로 최근 4년 동안 매년 30% 내외의 벌들이 사라졌다. 하지만 CCD가 발생하기 전에도 꿀벌은 상당한 비율로 줄어들고 있었다. 200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피해를 입는 일은 없을까. 700만t이나 되는 빙산 때문에 주변 수온이 낮아질 경우 해양
생태계
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무쟁 씨는 “노(no)”라고 결론부터 얘기했다. 빙산에 두르는 차단막은 빙산 표면과 1m 간격을 두고 천천히 내려오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해양 동물은 충분히 빠져나갈 수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생물의 눈에 숨은 비밀인간과 달리 다른 동물은 어떻게 세상을 바라볼까? 우리와 함께
생태계
를 구성하는 동물의 시각은 어떨지 관심을 가져보면 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조류 중에서 가장 민감한 눈을 갖고 있는 것은 하늘의 무법자인 매이다. 매는 높은 하늘을 날며 빠른 속도로 먹이를 잡는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두 빛깔이 각각 이루어낸 세계는 정반대라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회색 기계가 초록빛
생태계
의 적일 필요는 없다. 한 가지 색으로 이뤄진 그림보다 여러 색이 어울린 그림이 말 그대로 더 다채롭기 때문이다. 회색빛의 사물들에게 다른 색깔의 사물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자리를 찾아 주자.월드 #2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펩타이드로조류가 이상 증식해 바다나 강, 호수의 물이 적갈색으로 물드는 적조는
생태계
나 어민에게 피해를 일으킨다. 적조를 막기 위해 황토를 뿌리는 풍경도 뉴스에 많이 방영돼 익숙하다. 황당맨은 두 번째로 한국연구재단의 미래유망파이오니어 사업의 지원을 받아 적조방제용 펩타이드를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