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비교는 정확한 질량 측정을 위해 각 나라의 키블 저울로 측정한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을 비교하는 작업이에요. 정밀한 키블 저울을 가진 국가만 참여할 수 있는데, 이번에 우리나라가 미국, 캐나다, 프랑스, 중국과 함께 참가한 것이죠. 용어정리* ㎍(마이크로그램) : 100만 분의 1g을 나타내는 ...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있는 111번 원기와 우리나라 키블 저울로 측정한 수치를 가지고 올해 2월, 프랑스의 국제 비교에 참여했어요. Q 질량을 잰 원기를 직접 가지고 가셨군요?맞아요. 원기는 한 번 잃으면 복원할 수 없는 소중한 물건이라 비행기를 타고 갈 때도, 잠을 잘 때도 항상 원기를 담은 가방을 옆에 뒀어요.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중국의 지리서 ‘산해경’ 등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부용 도로변에 비교적 흔하게 피어있지만, 꽃 모양과 색이 무궁화와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꽃이 있어요. 무궁화와 같은 아욱과에 속하는 부용(芙蓉)이라는 꽃이에요.중국이 원산지인 부용은 무궁화와 마찬가지로 아침에 꽃을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연구진은 녹음한 소리를 시각화해서 볼 수 있는 스펙토그램으로 만들어 15년간의 소리를 비교 분석했어요. 그 결과 2013년 이후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소리는 진폭이 클수록 큰데, 2013년부터 진폭이 급격히 줄어 2014년 이후부터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였어요. 또 소리 ... ...
- [특집] 인공지능, 악플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쪼개 이미지로 만들고 특징을 추출한 뒤, 동영상을 올리는 사이트들을 검색해 이 특징과 비교해요. 그리고 유해 이미지의 특징과 일치할 경우 피해 영상물로 간주해 삭제를 요청하지요. 또, 누군가 영상을 올리려 할 땐, 유해 영상물인지 확인하지요. 유해 영상물을 올리려 한다면 사전에 차단하기 ...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대한 연구도 펼쳐졌어요. 크릴은 남극 바다의 핵인싸?! 남극은 생태계 먹이사슬이 비교적 단순한 편이에요. 펭귄, 물범, 고래 등 대부분의 남극 생물은 크릴을 먹이로 하고 있거든요. 해양조사 연구에 참여한 극지연구소 손우주 박사과정생은 “거의 모든 남극 동물이 크릴을 먹이로 하고 있어, 크릴 ... ...
- [과학뉴스] 태양, 어떻게 태어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는 항성의 빛, 거리, 색상 등을 조사하고, 이를 당시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의 궤도와 비교했지요. 그 결과, 약 47억 년 전 태양이 만들어진 시기와 두 은하의 충돌시기가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또, 57억 년 전과 19억 년 전, 10억 년 전 두 은하의 세 차례 충돌과 많은 별이 탄생한 시기도 ... ...
- [과학뉴스] 백악기 대멸종의 원인은 소행성 충돌 ‘각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모양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했지요. 그리고 칙술루브 충돌구의 실제 지질 구조와 비교했어요. 그 결과, 유카탄반도 북동쪽에서 초속 20km의 소행성이 45~60°로 날아왔을 때의 충돌구가 실제와 가장 비슷했어요. 연구팀은 “이 각도는 충돌로 인해 생긴 파편들이 대칭형으로 퍼져나가며 대기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곳에서 손님이 찾아오곤 해요. 그런데 오늘, 꿀록의 비행 조종사 친구가 지금까지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먼 곳에서 손님을 데려왔어요. 수줍게 문을 두드리고 들어온 손님이 말합니다. “솨이예 메 자미, 쥬 쉬 씔(Soyez mes amis, je suis seul).”“예…. 뭐라고요?”“아…, 안녕하세요. 어린 ... ...
- [한장의 과학] 배고프면 동족도 꿀꺽! 알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빨 자국은 누가 어떤 공룡을 먹었는지 알 수 있는 증거예요. 연구팀이 이빨 자국을 비교해보니 대부분이 알로사우루스의 것이었어요. 특히 알로사우루스의 이빨 자국이 나 있는 뼈 화석 중 17%는 육식공룡의 것으로, 심지어 그중에는 같은 알로사우루스도 있었어요. 알로사우루스가 동족을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