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프뉴스] 검은코뿔소를 지킬 방법이 머니? 야생동물 보호 채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위기에 처한 검은코뿔소를 구할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어요.
바로
‘코뿔소 채권’이에요. 세계은행은 지난 3월 24일부터 사람들에게 채권을 팔아 검은코뿔소를 보호하기 위한 비용을 마련하기로 했어요. 5년 뒤 검은코뿔소의 수가 늘어나면 채권을 산 사람들에게 이자★를 주기로 약속했지요 ... ...
[2교시]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푼 수학자를 만나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않는 하이퍼그래프를 언제나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거지요. 해결의 실마리는
바로
‘흡수’ 연구팀은 조건을 만족하는 하이퍼그래프를 그리기 위해 어느 점과도 짝을 지을 수 있는 몇 개의 점을 제외하고, 점을 연결하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하다보니 연결이 쉽지 않은 점들만 남았고, 그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7] 반지름과 중심각 알면 부채꼴은 내 손안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케이크의 조각은 모두 부채꼴 모양이에요. 이 조각의 넓이와 둘레는 어떻게 구할까요?
바로
반지름의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만 알면 되는데요. 오늘은 그 방법을 알아볼 거예요. 중학교 1학년 ‘원과 부채꼴’ 단원에서는 다양한 부채꼴 모양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배워요. 큰 부채꼴에서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티라노사우루스가 3종인지 단일종인지를 둘러싼 논쟁으로 고생물학계가 뜨겁다. 2월 공룡연구자인 그레고리 폴과 스콧 퍼슨스 미국 찰스턴대 교수 연구팀은 학술지 ‘진 ... 지금까지의 빈약한 데이터로 나온 결론이 새로운 근거를 통해 다시 재정립되는 과정이
바로
고생물학입니다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수용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단백질을 만들 때 설계도 역할을 하는 DNA 서열이
바로
‘유전자’다. 비암호화 영역은 유전체에서 유전자를 뺀 나머지 부분이다.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지 않다는 뜻에서 비암호화 영역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단백질을 만들어낼 때 설계도처럼 쓰이진 않지만, ... ...
[통합과학 교과서] B612 소행성의 진짜 위치는 어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12를 찾을 수 있겠는데요.”어린 왕자가 밝아진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어요.“찾았어요!
바로
저 별이 B612군요.”어린 왕자가 별들 중에 하나를 가리켰어요.“저 별을 따라서 운전하면 되겠네요. 이제 출발해 볼게요! 안녕히 계세요.”“잠시만요!”꿀록 탐정이 출발하려는 어린 왕자를 막았어요 ... ...
머니 어벤져스 필살기! 달력 용돈 기입장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본책 18쪽과 함께 보세요! 다음 용돈을 받을 때까지 남은 날짜와 용돈 잔액을 언제든 한눈에 알아볼 수는 없을까? 도토리 슈퍼 머니 어벤져스가 찾아낸 방법은
바로
‘달력 용돈 기입장’! 여기에 용돈 분석 그래프까지 더하면 최강 무적 용돈 관리 전략이지~!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계획이었다.세 계획 모두 시간 맞춰 이뤄지진 않았다. 그나마 강남역 인근 하수관로를
바로
잡는 공사가 빨리 이뤄져 2018년 완공됐다. 같은 해 반포천 유역분리터널 공사를 착공해 올해 6월 완공했다. 배수구역 경계조정 공사는 예산 등 문제로 2024년까지 연장된 상태다. 그러나 모든 공사가 계획대로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짐과 함께 논문이 가득한 상자를 제 집에 두었습니다.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그 학생이
바로
허준이 교수입니다. 본인의 표현을 빌려 말하면, ‘마치 고래가 크릴을 먹어 치우는 것처럼, 지식을 최대한 많이 습득한 후에 그 지식들 사이에 연결성을 찾는 과정을 반복했다’고 합니다. 한번은 포커를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대수기하학의 관점에서도 충격적인데, ‘사영다양체’를 거치지 않고 매트로이드에서
바로
사영다양체의 교차이론에서 나오는 고유의 성질들을 확립한 것은 현재의 대수기하학의 토대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비유하자면 화성(조합론, 매트로이드)에서 얼음(호지-리만 관계)을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