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내가 바둑 세계 최강 고수 중 한 명인 이세돌 9단을 꺾었다고 세상이 떠들썩하지 뭐야.
난
그저 구글 딥마인드에서 알려 준 대로 열심히 공부하고 이기는 수를 뒀을 뿐인데…. 응? 기계가 어떻게 공부해서 바둑을 두냐고? 사람이 대신 둔 거 아니냐고? 안 믿는다니 어쩔 수 없지. 내가 ‘컴퓨터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판후이 2단과 대국해서 이긴 적이 있어. ‘바둑 인공지능이 사람을 꺾었다’고 다들
난
리들이었다고~. 그리고 이번엔 세계 챔피언인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도 멋지게 우승했지! 내가 바둑을 잘 두는 비결? 아주 많은 데이터와 아주 빠른 계산 속도지. 인간은 평생 공부해도 못 할 양, 알파고는 5주에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강한 인공지능’이라고 불러요. 알파고는 이번 바둑 대결에서 승리하며 뛰어
난
전략을 자랑했어요. 강한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보인 거지요. 그러다 보니 영화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로봇 T-1000처럼 인간을 위협하거나 지배하는 인공지능이 되는 건 아닌지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요.하지만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등을 하고 있습니다.수능 대박 기원 행사수능 대박 기원 행사와 수학 체험 활동이 만
난
다면? 큰 4D프레임을 활용해 거대한 지오데식 돔을 만들고, 그 구조물 사이에 수능 희망 메시지를 붙여 선배와 친구를 응원할 수도 있습니다. 지오데식 돔을 만들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해 운동장에서 만들기도 ... ...
[과학동아] 상처
난
곳까지, 출동 피부세포!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우리 몸의 1차 방어벽인 피부세포는 평소 거의 움직이지 않고 고정돼 있다. 그런데 이런 피부세포가 갑자기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순간이 포착됐다. 미국 워싱턴대 조나단 존스 교수팀은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주변 세포들이 이것을 메우기 위해 직접 움직인다는 사실을 고해상도 공초점 현미경으로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다만 소비자 입장에서 음료와 의약품의 정확한 차이를 꼭 인지해야한다. 아무리 뛰어
난
음료라도 의약품만큼의 즉각적이고 큰 효능은 없다. 또한 불면증은 감기만큼이나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의 기작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리는 만무하다. 그런 의미에서 슬로우 카우는 탄산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마치 내장지방이 가득한 중년 남성처럼 볼록한 배를 갖고 있다. 몸무게의 25%나 되는 엄청
난
양의 풀을 위 속에 일단 넣은 뒤, 소가 되새김질을 하면서 풀을 소화시키듯 천천히 시간을 들여 분해하기 위해서다.이 때문에 콜로부스 원숭이의 습성은 다른 구세계 원숭이와는 확연히 다르다.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07년 삼성-허베이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나 2011년 후쿠시마원전사고처럼 바다에서 사고가
난
이후에는 그 지역의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시간에 따라 나아지는지 조사를 해야합니다. 이때 조사를 하는 연구실이 제대로 된 시료를 분석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표준물질입니다. 바다에서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또는 화장실이 몹시 급할 때, 엘리베이터를 오랫동안 기다릴 필요가 없을 것이다. 불이
난
건물의 벽을 타고 올라가 갇혀 있던 아이도 구할 수도 있고, 영화 주인공처럼 악당을 멋지게 무찌를 수도 있을 것이다.과학기술이 좀 더 발달한 미래에는 사람이 스파이더맨처럼 벽이든, 천장이든 올라갈 수 ... ...
[과학뉴스] 불나방의 초음파 경고 “나 맛없거든!”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쫓긴다고 도망만이 능사일까. 박쥐에게 “
난
맛없어”라는 독특한 경고신호를 보내는 당돌한 불나방을 자연에서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닉 다우디 연구원은 천적인 박쥐에게 초음파로 신호를 보내 포식을 피하는 불나방(tiger moth)을 자연 환경에서 관찰했다. 박쥐는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