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다리가 무려 1306개? 가장 다리 많은 다지류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연구팀은 표본을 노래기 연구자인 폴 마렉 교수에게 보냈지요.연구팀은 지하 깊은 곳에 사는 에우밀리페스가 땅을 잘 파내기 위해 수많은 다리를 갖도록 진화했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유전적으로 가까운 종은 아니지만, 이전에 발견된 가장 다리 많은 노래기인 ‘일라크메 플레니페스’도 지하 ... ...
- [과학 뉴스] 내 어항은 내가 직접 운전한다! 금붕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후, 연구팀은 금붕어가 탄 물고기 자동차를 방 중앙이나 오른쪽 구석으로 옮기는 등 다른 곳에 두며 지켜봤습니다. 관찰 결과, 금붕어는 위치가 바뀌어도 그때마다 이리저리 탐색해 목표점을 찾았어요. 심지어 연구팀이 목표점을 다른 색으로 표시해도 헷갈리지 않았으며, 잘못 찾아간 경우에도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크에 파쿠르 게임방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그러면 빌더가 무작위 위치로 이동해 위치마크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앞으로 20칸 떨어진 곳에 블록을 놓아요. 이 동작을 100회 반복하며 파쿠르맵을 생성하지요. 14 이제 플레이어가 사망해도 게임을 다시 시작하기 쉽도록, 사망하면 자동으로 파쿠르 시작 위치로 돌아가게 해볼게요. 먼저 ... ...
- 방탈출! 퍼즐이 보여주는 놀라운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최초로 포착했어요. ‘사건의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은 유럽과 남미, 남극 등 8곳에 있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블랙홀의 그림자를 관측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했어요. 이때 캐서린 보우먼 하버드 대학교 연구원이 이용한 분석 방법은 직소퍼즐을 맞추는 원리와 비슷했어요. 관측을 통해 얻은 ... ...
- [특집] 수학 X 게임 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적게 체력을 남기면 됩니다. 문제상황. 좀비의 체력이 가장 적으려면 얼마나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야 할까? 몬스터는 블록의 네 칸 높이에서 떨어질 때부터 피해를 입어요. 즉 세 칸 블록까지는 떨어져도 피해를 입지 않고 그 위부터 블록당 1만큼 피해를 입습니다. 따라서 블록 개수를 x라고 ... ...
-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물이 흐르는 곳이면 어디서든 전력을 만든다. 발전 인프라가 부족해 전기가 닿지 않는 곳에 물을 공급할 뿐 아니라, 화석 연료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2016년 8월, 우노는 크라우드펀딩으로 3억 원가량 선주문을 받았다. 박 대표는 “우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재생 가능한 ... ...
- [이달의 책] 인간과 동물 사이의 장벽은 환상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프리다이빙을 권하며 ‘추적’이라 불리는 바다숲의 생물학적 마음이 작용하는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방법을 설명했다”며 “크레이그를 잘 봐줘야 기인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지만, 일단 그와 잠수를 계속하기로 했다”고 적었다. 이 책은 주로 프릴링크가 자연에 몰입한 ‘기인’ 정도로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정확한’ 수학이 좋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나타내는 수예요. 가로, 세로 칸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뉜 표를 그린 다음, 기준이 되는 곳에서부터 몇 칸 떨어져 있는지 쓰는 거지요.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4칸, 위로 3칸 떨어진 점의 위치는 (4, 3)이라고 써요. 좌표 덕분에 사람들이 0보다 작은 수인 ‘음수’를 받아들였지요?당시 사람들은 눈에 ... ...
- [특집] 3월 14일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수학의 날!수학동아 l2022년 03호
- 것을 발견한 뒤, 원주율과 아인슈타인을 기리는 행사로 발전했어요. 이후 많은 곳에서 π-데이를 즐기게 됐어요. Q. 원주율이 중요한가요?π는 원의 지름에 대한 원의 둘레의 비율인데, 원과 관련한 모든 계산에 쓰여 수학이나 과학에서 정말 중요해요. 통신 기기의 신호와 DNA 분석은 물론 우주 ... ...
- [서펑] 유전자 편집 기술의 중심에 선 과학자 '제니퍼 다우드나'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동기가 실은 돈도, 명예도 아닌, 자연의 신비를 밝혀내고 그 발견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것임을 깨닫게 했다”고 적었다.이 책은 주인공 다우드나 교수 외에 그를 둘러싼 많은 과학자들의 일생을 다룬다. 다우드나 교수와 경쟁 관계에 있는 장 교수, 노벨상을 함께 수상한 샤르팡티에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