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염"(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생충은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서서히 나았다. 그 때 내내 공포에 시달렸던 생각이 있다. ‘혹시 아프리카에서 기생충에 감염된 것 아닐까?’ 별 의심을 다 했다. 평소 고기를 전혀 안 먹는데, 탄자니아 야생동물연구소장이 일행을 특별히 만찬에 초대하더니 염소 고기로 만든 국을 먹였다. 억지로 반쯤 떠먹었는데, 혹시 거기에?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글 부하령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aryoung@kribb.re.kr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을 지낸 감염병 백신 전문가로서 다수의 바이러스백신 연구논문 발표 및 특허를 출원했고 치료백신 임상연구를 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Bridge. 사람이 ...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만났고, 아직 그 시간이 오래지 않았을 때 이렇다”고 말했다. 마지막은 바이러스가 아예 감염시킬 수 없는 숙주다. 바이러스는 저마다의 생활구역이 있으며, 종을 마음대로 넘나드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이를 종간장벽이라 한다).오늘날 우리가 더 아픈 건 오래 살기 때문“예전보다 대상포진 ...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대한 반감 혹은 거부감은 리스터식 소독법을 수용하는데 방해가 되었다. 앞서 병원 내 감염을 연구한 제임스 심슨 역시 주요 반대자였다. 그는 리스터의 세균(박테리아)을 ‘신화적 곰팡이’라고 불렀다. 많은 이들이 리스터의 세균론이 ‘상상’일 뿐이며 그의 방법을 ‘석탄산 방법’이라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사망환자 수가 전 세계에서 400명을 넘기지 않은 이유다. 이 질병이 아직 사람 사이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나타나지 않은 것도 바이러스가 인체라는 새로운 숙주에 적응하지 못한 이유로 추정할 수 있다.앞으로 시간이 지나면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인류와 적당히 상생할 수 있는 타협점을 찾을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막는 방법에는 크게 예방과 치료가 있다. 예방은 백신을 접종하는 것 외에도 감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경로차단, 제독 같은 방법도 포함한다. 치료에는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항체 등을 사용한다. 생물무기는 어떤 병원체인지, 언제 어디서 사용한 것인지 확인이 어렵고 은밀하기 때문에 조기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더구나 비슷한 시기에 유행한 우역 바이러스는 먹이 마저 앗아갔다. 소 등 우제류에만 감염되는 이 바이러스는 1636년 5월 만주에서 조선으로 전파됐다. 한 번 들어온 우역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고, 조선의 소는 주기적으로 우역에 걸리게 됐다. 그런데 사람이 산지에서까지 살기 시작하면서 우역은 ...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전체 게놈을 분석할 수 있다. 연구팀은 채취한 DNA에서 유골 주인의 유전자를 제외하고, 감염된 세균의 유전자를 가려내 종을 파악했다.그 결과 이 세균은 한센병을 일으키는 마이코박테리아 균주로 밝혀졌다.이 균주의 현대 후손은 게놈이 330만 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져 있는데, 연구팀은 이 ... ...
- 살인진드기, RNA 바이러스가 원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상이나 단백뇨, 혈뇨 등이 발생하면 의심환자로 분류한다. 아직까지 치료 방법이나 감염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바이러스인 만큼, 환자의 혈액에나 체액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 환자를 접촉격리치료한다. 확정 진단은 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해 검사해야 알 수 있다. 제주도 ... ...
- INTERVIEW 노벨상 수상자 하랄트 추어 하우젠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염색체에 삽입돼 기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원리를 바탕으로 백신이 개발돼 HPV 감염과 자궁경부암 발병을 막을 수 있게 됐다.노벨상 수상자의 학창시절은 어땠을까. 독일의 고등학교 교육과 노벨상 수상과의 연관관계를 묻자 추어 하우젠 박사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또 그는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