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WMO 한국 본선 ‘2015 CMDF’수학동아 l201512
- 10월 25일, 서울대학교 체육관에서 세계수학올림피아드(WMO) 한국본선 ‘2015 CMDF(창의적 수학토론대회)’가 열렸다. 2015 CMDF는 WMO위원회와 소년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한 대회다. 팀원과 함께 하는 토론과 퍼즐, 수학 게임을 통해 개개인의 수학 실력보다 팀원 간의 의사소통능력과 협동심, 문제해결 력을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11
- 상황을 잘 파악하는지 평가하는 ‘위노그래드 도식 시험’ 등이 대표적이다. 왜 갑자기 대학 입학 시험으로 인공지능의 수준을 평가하게 된걸까. 장 교수는 “인공지능의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 ...
- 시각 장애인 돕는 ‘스마트 지팡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앞을 못 보는 시각 장애인들도 이제 친구나 가족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게 됐어요. 영국 버밍엄시티대 스티브 아디그보 학부생을 포함한 3명의 학생 연구자가 10m 떨어진 곳에서도 다가오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 ‘익스플로알(XploR)’을 개발했거든요.이 스마트 지팡이의 비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는 외모나 행동, 살아가는 모습이 아주 비슷해요. 그래서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별하기 힘들지요. 특히 두 종은 같은 공간에서 살기 때문에 수원청개구리인줄 알고 잡았는데 실제론 청개구리인 경우가 많아요. 수원청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개체수가 많아 만나기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11
- 익숙해져 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대학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천연덕스럽게 “그걸 왜 몰라”라고 묻는 것이 좋은 예다.도움을 줄 때는 내가 어떤 것을 해줬느냐가 아니라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냐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서울공대카페 34 에너지자원공학과]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11
- 40년 뒤면 다 떨어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던데, 실제로 그런가요?정은혜 제가 1998년에 대학에 입학했는데, 그 때 전통에너지 자원이 20년 남았다고 했어요. 그리고 15년이 지난 2013년에 제가 학교에 부임했을 때도 20~30년 남았다고 했죠. 그럼 그 동안 우리가 석탄이나 석유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걸까요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최근 왜소행성 세레스의 표면에서 하얗고 반짝이는 점이 관찰됐어요.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벨트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천체예요. 지름이 약 950km나 된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이 천체를 탐사하기 위해 2007년에 ‘돈(Dawn)’이라는 무인 탐사선을 보냈죠. 세레스의 표면을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강한 인공거미줄강철보다 강도가 20배 뛰어난 인공거미줄이 개발됐다. 독일 바이로이트대학교 토마스 샤이벨 교수 연구팀은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장 속에 사는 대장균에 거미의 유전자를 결합시켰다. 그 다음 대장균이 만들어낸 단백질을 얼린 뒤 건조시키고, 이를 알코올이 섞인 물에 통과시켜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11
- 요트는 외국에서나 유명한 스포츠인 줄 알고 있었다. 그런데 10월에서 11월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국제요트대회가 여럿 열린다는 소식을 들었다. 수학동아에서 한 번도 다룬 적 없는 스포츠라 냉큼 취재 계획을 세웠다. 그러면서도 큰 기대는 하지 않았던 고 기자, 인생에 다시없을 취재를 하게 됐다! ... ...
- 철새의 자기장 내비게이션, 실험으로 증명과학동아 l201511
- 요인은 없는지는 구체적인 실험을 하지 않고서는 밝힐 수가 없었다. 북아일랜드 퀸스 대학의 드미트리 키시키네프 교수팀은 특수 고안한 자기장치로 실험해 철새의 자기장 내비게이션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철새인 유럽개개비의 이동경로에 자기장 교란 지역을 만들고, 철새의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