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1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겹눈 사이에 더듬이로 보이는 부분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것이다. 새처럼 보이는 부
위
의 실제 크기는 머리카락 한 가닥과 비슷하다. 이 더듬이는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어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
국민 아이디어 1년 모으니 황금알 낳는 아이디어 ‘1만 3000건’
2014.09.26
등 멘토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이면 일단 연락하고 찾아갔다. 경제를 살리기
위
해 창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문적인 식견이 꼭 필요하다며 설득했다. 그 결과 창조경제타운은 6개월 사이에 전문 멘토 3000명 이상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최현규 창조경제지원사업단장은 “이형곤 ... ...
이번 주말엔 ‘토성 품은 달’ 관측하세요~!
2014.09.24
달의 오른쪽
위
로 나타나면서 마무리된다. 28일 오후 12시 전에 동남쪽을 향하고 선 뒤
위
의 그림처럼 지면을 기준으로 손바닥을 펼치면 흐릿한 초승달을 관찰할 수 있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천문연은 망원경을 이용해서 토성 엄폐 현상을 관찰하는 방법을 공개했다. 우선 달을 먼저 찾아야 ... ...
“학부 3학년부터 실험실 생활 시작했죠”
2014.09.24
표면에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돌기를 만들고, 이 돌기
위
에 다시 0.1μm 크기의 더 작은 돌기들을 덧붙였더니 뼈세포의 생존율이 3배, 뼈로 분화되는 비율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씨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조직 재생’이라는 분야를 처음 접한 뒤 김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크고 설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에 주목했다.
위
아래에 넓은 금속판을 두고 그 사이에 섬유로 만든 얇고 긴 띠를 넣어 바람에 띠가 나부끼게 한 것이다. 이 띠가 금속판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과정에서 ‘마찰전기’가 생긴다. 마치 풍선을 옷에 비비면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지구 중력에서 걷는 속도는 초속 1.1m고, 걷다가 뛰기 시작할 때는 초속 약 2m 정도다. 달
위
에서 걸을 때도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빠르게 걸을 수(어쩌면 지구와 큰 차이 없는 모습으로)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론값과 다른 우주비행사들의 걸음걸이 속도가 ‘팔과 다리의 회전 효과’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수 있었다. 박용근 교수는 “지금까지 300nm 보다 작은 물체의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
해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했지만 살아 있는 세포는 여전히 관찰하기 어려웠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생명공학을 비롯해 광학 측정과 제어가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서 핵심 기반기술로서 사용될 수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
2014.09.17
연사로 나선 심재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이사는 이렇게 질문을 던졌다. 정답은 ‘흙
위
에 지은 온실’. 비닐을 통과한 가시광선은 유리에 반사돼 그대도 밖으로 나가 버리는 반면, 가시광선을 흡수한 흙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비닐에 흡수됐다가 다시 방출되며 일부가 온실에 갖히기 때문이다. ... ...
세계 대학 순
위
서울대 31
위
, KAIST 51
위
2014.09.16
바 있다. 하버드대는 지난해 2
위
에서 올해 4
위
로 두 계단 밀렸다. QS 세계대학평가 순
위
는 △학계 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20%) △교수 1인당 학생 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 △외국인 교수비율(5%)의 6개 지표에 따라 평가된다.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받았지만 임상의학의 한계를 느끼고 분자생물학을 공부해 1993년 이학박사학
위
를 받았다. LA 캘리포니아대의 발생학자 에드워드 드 리베르티스 교수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사사이는 신경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코딘(chordin)’이라는 유명한 유전자를 발견한다. 1996년 ... ...
이전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