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7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7680개이지만 반올림해서 8000개라는 뜻이다. 이는
기존
UHD보다 두 배 많은 숫자다.
기존
UHD는 3840개로 역시 반올림해서 4000개라는 뜻으로 4K를 쓴다. 1920개인 HD는 2K다. 그런데 과연 우리 눈은 8K를 볼 때 4K보다 선명하다고 느낄 수 있을까. 시력 1.0인 사람이 65인치 TV(폭 1.44m)를 볼 때 디스플레이 ... ...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
과학동아
l
2018.11.13
이용해 두께가 8μm(마이크로미터·μm는 100만분의 1m)인 안테나를 만들었고, 이 안테나는
기존
의 나노물질로 만든 안테나와 비교해 98%의 성능을 보였다. 또한 두께가 종이의 10만분의 1밖에 되지 않는 62nm(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안테나도 만들었다. 막센을 물과 섞어 스프레이로 분사해 안테나를 ... ...
1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성수 SKT 부장·김재환 네오크레마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평가를 받았다. 360영상전화는 상대방의 얼굴 외에 주변공간까지 공유하는 서비스다.
기존
에는 상호 지연시간이 2~2.5초에 달해 사실상 실시간 영상 공유가 불가능하고 얼굴 정도를 보는 데 만족해야 했다. 박 부장은 지연시간을 0.8초 이하로 단축해 스마트폰으로 매끄러운 통화와 영상 전송이 ... ...
‘HD촉감’으로 가상현실 더 실감나게!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1점만 읽어서는 이런 정보를 표현할 수 없다. 박 교수는 “두 점을 인식하는 입력장치로
기존
보다 다양한 형상의 가상 물체와 자연스럽게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보다 다양한 촉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직접 VR 조종기에 다양한 기능을 넣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 ...
“글로벌 투자자들 마음을 사로잡아라”…기술창업 ‘왕중왕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프레디 왈라 인도네시아 지사장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기존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며 “해외시장에선 수요계층이 분명한 아이템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대회는 중기부와 부산시가 주최하고 창진원이 주관한 ... ...
초저전력 스포츠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약 0.03밀리와트(mW)만으로도 심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어 전력소모가
기존
센서의 수십 분의 일로 줄었다. 이 센서는 유연성이 높아 잘 구부러지 때문에 손목시계나 팔찌, 반지 형태로 만든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에 적용하기에도 유리하다. 유 교수는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향후 ... ...
전기車 전원 ‘슈퍼 커패시터’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제작이 가능하고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3만 번 이상 충·방전할 수 있다. 상용화 과정에선
기존
구형 콘덴서 방식의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부피를 1000배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사물인터넷(IoT), 자가발전 스마트 센서 등 부피를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자랄 수 있는 '만능세포(줄기세포)'로 바꾸는 기술이다. 이 세포를 척수, 망막, 간 등
기존
의료기술로 치료가 어려웠던 난치병 부위에 주입하면 새로운 세포로 자라난다. 황우석 전 서울대교수팀이 개발했다고 주장했던 ‘환자 맞춤형 배아줄기세포 기술’과 비슷하지만 난자가 필요 없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이제 과학자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세포를 연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기존
에는 세포의 기능과 작동 기전을 연구할 때 기관에서 조직으로, 조직에서 세포로 다시 세포에서 세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단순화하거나 분해해 나가는 하향식으로 접근했다. 하지만 최근 생명공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 ...
국내 연구진 원핵생물-진핵생물 진화 비밀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진핵생물에 기생하다가 같은 생물로 합쳐진 ‘공진화(共進化)’의 결과였다는
기존
학계의 주류학설과 일부 상반되는 결과여서 과학계의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미토콘드리아가 포밀메티오닌을 생성하며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세포 속 ‘포밀메티오닐-트랜스퍼라제(효소 ... ...
이전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