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초점거리가 26~130mm가 나온다. 이는 원래 초점거리에 대각선 길이의 비의 값을 곱한
결과
다.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는 넓은 장면을 담을 수 있어 ‘광각렌즈’라고 한다. 광각렌즈는 정지 상태에서 사람의 눈이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장면보다 더 넓은 풍경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 광각렌즈는 대자연을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멱함수의 하나다.이들은 또 파도가 부서질 때 발생하는 거품의 크기도 조사했는데, 그
결과
큰 거품은 파도가 굽어질 때 만들어진다는 걸 알아냈다. 파도 안쪽에 생긴긴 터널 같은 공간에서 바닷물이 공기와 만나 지름이 1mm에서 수cm까지인 거품이 발생한다. 작은 거품은 파도가 바닥으로 떨어질 때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암호 알고리즘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5~6년 전부터 시작됐지만 아직까지 주목할 만한
결과
가 나오고 있지는 않다. 연구팀은 암호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한 뒤 여기서 초경량 시스템에 적합한 방법으로 범위를 좁혀가며 연구를 진행해가고 있다. 수학적으로 접근해 최적화된 새로운 알고리즘을 ... ...
[수학클리닉] 부등식 짚고 넘어가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생활 속 부등식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한 걸음 더여러 해를 거쳐 학생들을 지켜본
결과
, 부등식의 복병은 음수입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문장이 있죠. ‘부등식의 각 변에 같은 음수를 곱하거나 나눌 때는 부등호의 방향이 바뀐다’입니다. 하지만 이 공식이 여러 학생들의 발목을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개의 옆모습을 X선으로 고속촬영(초당 500프레임)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이 확인됐다.즉 개가 혀의 연속 왕복운동으로 우유를 마실 때 입안으로 들어가는 양이 3단계에 걸쳐 목으로 넘어간다는 것. 즉 혀의 뒷부분과 입 천장의 뒷부분(연구개라고 부른다) 사이에 ... ...
앎의 기쁨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상식보다는 생각한대로 한번 실험해보라는 조언을 해줬습니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
에 새로운 실험이 보태어지면서 연구활동이 모습을 갖췄고, 발표와 토론의 기회를 통해 다른 학생들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어 실험을 좀 더 보충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스로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컴퓨터 지식이 없는 일반인의 눈에는 크래커도 같은 ‘해커’로 보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
일 수 있다. 더군다나 블랙햇 해커의 활동은 언제나 많은 시선을 받는다. 마치 축구에서 수비에 집중하는 선수보다는 상대방의 방어를 뚫고 골을 넣는 스트라이커에게 시선이 더 가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같은 시각에 위성으로 관측한 자료를 보면 새 모델이 예측한
결과
와 매우 비슷했다.집중호우 100% 예측할 수 있나?상세 국지예보모델이 기존 모델보다 더 낫다고 해도 모든 오차 원인을 해결한 것은 아니므로 여전히 예측 한계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균일하게 퍼지고, 팽창하는 모든 방향에 대해 등방성을 유지한다’는 코비 위성의 관측
결과
를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우주가 팽창하는 현상을 더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마지막으로 우주 초기에 무질량입자와 질량입자가 동시에 나온다는 사실도 밝혔다. 빛과 물질이 동시에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신약표적 연구실은 화학물 라이브러리에서 혈당을 낮추는 물질도 발견했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인슐린과 구조가 비슷해 몸속에서 마치 인슐린처럼 행동한다. 이 물질을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신약표적 연구실의 또 다른 장점은 생명과학과 함께 영어도 배울 수 ... ...
이전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다음
공지사항